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사랑·연민 실천이 새 세상 열어… 한국 꼭 방문하고 싶다”

방한추진위 스님들 만난 달라이 라마
“몇년을 기다려야 하나요.”

티베트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81)는 온 얼굴에 웃음을 띠면서 한국기자들에게 이처럼 말을 건넸다. 한국에 가고 싶은데도 왜 갈 수 없냐는 반어적 표현이다. 달라이 라마란 티베트어로 ‘바다처럼 큰 스승’이란 의미다. 그는 처음 만난 한국기자들 10여명과 눈을 맞추며 멀리서 찾아와 고맙다는 듯 정성스레 악수를 했다. 인터뷰는 지난달 30일 인도 북부 다람살라시 남걀사원에 있는 집무실 옆 접견실에서 이뤄졌다. 티베트 망명 정부가 위치한 남걀사원은 달라이 라마가 전 세계 불자, 지식인, 학자, 일반인들에게 설법하는 장소로 유명하다. 인도 정부가 허락한 1700㎡ 규모의 사원에는 대형 법당과 달라이 라마 집무실 등이 단아하면서도 검소한 티베트 양식으로 꾸며져 있었다. 달라이 라마 방한추진위원회를 이끌고 있는 금강 스님(해남 미황사 주지)과 진옥 스님(여수 석천사 주지), 추진위 소속 스님 등 20여명도 기자단과 동행해 자리를 함께했다.

화두는 역시 방한 문제였다. “아시아 국가들 중 일본 빼고는 모두 가보지 못했다. (아시아 각국이) 모두 불교국가인데도 못 가는 이유가 내가 비구이기 때문인가(웃음)”라고 농을 던졌다. 비구이기에 응당 방문했어야 한다는 역설적 표현이다. “중국 정부의 변화가 있기 전까지는 (한국) 방문이 어려울 것이다. 중국 지인들 얘기로는 내년 있을 중국공산당전국대표대회를 계기로 좀 변화가 있을 것이라 들었다.”


지난달 30일 인도 다람살라의 ‘달라이 라마궁’에서 만난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다람살라=공동취재단
달라이 라마는 한국 불자들에게 치열한 수행과 정진을 당부했다. “티베트인들에게도 항상 강조하지만 중요한 건 21세기 ‘더불어 사는 불자’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불자 대부분이 예전의 관습, 전통대로 배움과 수행을 게을리하고 불경 독송만 하는 데 그친다. 시대를 못 따라갈까 걱정된다. 지혜로운 사람은 분석과 관찰을 통해 부처를 배우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신심으로만 따르려 한다. 신심으로 따르는 ‘맹신’은 얼마나 불교를 유지시키게 될지 잘 모르겠다. 분석, 관찰로써 경전이나 말씀을 공부한다면 수천 년간 이어갈 것이다.”

달라이 라마는 인터뷰 도중 금강, 진옥 스님 등이 한국에서 준비해 간 반야심경 경판(합천 해인사 대장경 소장 모조품)에 감동한 듯 머리를 대며 기도했다. 달라이 라마는 평소 대장경이 있는 해인사를 가보고 싶어했다. 해인사 대장경이 티베트 대장경보다 120년 정도 앞서 만들어져, 한국을 형님의 나라라고 칭송하곤 했다고 한다.

“한국의 지식인, 시민, 불자들이 ‘존자’(달라이 라마의 존칭)가 오길 고대한다”고 전하자, “한국에 가면 김치를 꼭 먹어보고 싶다”면서 당부의 말을 이어갔다. “(한국은) 조상 대대로 불교의 나라다. 불법을 말할 때 8만4000법이라고 하지만, 불자라면 부처 말씀 배우기에 열심하라. 대부분의 바탕은 반야심경에 있다. 공성(空性·마음을 비움), 보리심(중생을 제도하는 마음) 등 스스로 사유하고 사유가 깊어지면 수행해야 한다. 수행을 통해 경험하고, 체험하면 확신이 생기고, 삶 자체가 깊어지고 행복해질 것이다.”

한국의 젊은이에게 전할 메시지를 묻자 “행·불행은 의지, 즉 마음먹기에 달렸다. 마음이 느긋하면 몸이 조금 불편해도 극복하고 나아갈 수 있다. 운동선수들이 올림픽에서 메달 따겠다고 마음먹으면 육체의 고통을 극복해가며 훈련을 한다. 마음의 의지가 굳건하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달라이 라마는 특히 미래 세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유치원 때부터 아이들에게 사랑, 자비, 연민을 교육하면 이들이 사회로 진출하고 새로운 세상을 여는 정치인, 교육자 등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하느님이 세상을 창조한 이유가 뭔가? 사랑과 연민이다. 아버지가 그런 마음으로 세상을 창조했다면 아들인 인간도 따라야 하는 것 아닌가. 분노하고 화를 내는 세상이 아니라 사랑과 연민의 마음을 실천해가야 한다. 자이나교나 불교는 조물주를 인정하지 않는 종교지만, 인과, 업과로 모든 게 좌지우지되니 사랑과 연민을 베푸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했다.

달라이 라마는 인터뷰 말미에도 거듭 한국 방문을 기원했다. “한국에 가고 안 가고는 정치적인 부분이다. 이건 정말 소수의 사람들(정치인을 지칭)에게 달린 일이다. 정치 정세가 바뀌면 내가 델리로 가서 한국 가는 비행기 타면 된다. 얼마나 쉬운가”라면서 중국의 변화를 기대했다. 달라이 라마는 “2011년부터 정치 분야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법왕제는 티베트에서 약 400년 동안 이어져온 전통이지만, 이를 내놓고 은퇴했다”면서 지금 같은 종교지도자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했다.

달라이 라마의 한국 기자 인터뷰는 8월 29일부터 1일까지 나흘간 이어진 아시아지역 법회를 계기로 이뤄졌다.

그는 매번 설법에서 21세기의 어지러운 세태에 종교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한데도 그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질타하면서, 종교보다 인간과 생명을 중시하라고 강조한다.

다람살라(인도)=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