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6해병려단에 보내는 통첩장’이라는 제목의 대남 전단에서 “괴뢰 6해병려단은 우리가 소멸해야 할 첫 타격대상이다. 전대미문의 파괴력을 가진 타격수단으로 목표를 확정하고 발사 준비 상태에 있다. 우리는 빈말을 모르며 한다면 한다”고 위협했다. ‘탈출만이 살길’이라는 또 다른 대남 전단에는 “백령도는 거대한 무덤으로 될 것이다. 시체마저 타버릴 지옥의 불가마 속에서 섬 귀신이 되고 싶지 않다면 용단을 내려라. 우리의 권고는 하나뿐이다. 뛰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다른 전단에는 불에 탄 해골 모양이 그려져 있었다. 군당국은 인천 옹진군 백령도 진촌리 일대와 사곶해수욕장 인근 마을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온 대남 전단 수천장을 수거했다.
![]() |
16일 오전 인천 옹진군 백령도 진촌리와 사곶해수욕장 인근 마을에서 발견된 북한의 대남 전단(삐라). 북한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처형 이후 처음으로 북측이 살포한 전단이다. 연합뉴스 |
가장 최근 북한이 대남 전단을 대량 살포한 것은 지난해 10월이다. 당시 국방부의 ‘종북교육’을 비난하는 내용을 담은 대남 전단 1만6000여 장이 경기 김포와 파주 일대에서 발견됐다. 남북은 2000년 4월 전단 살포를 중단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남한 내 탈북자단체가 대북 전단을 살포하자 북한도 대남 전단 살포로 맞대응했다.
김선영 기자 007@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