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공적원조 전략적 활용… 개도국 진출 교두보로

[푸른 지구 지키는 창조의 길] 사업자 제약 적고 기간도 짧아 장점
베트남 등 26국 중점 협력국 선정
건설사업 발굴·마스터플랜 수립도
우리나라는 해외 환경시장 개척을 위한 방법으로 공적개발원조(ODA)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환경시장은 경기 침체 등과 맞물려 포화상태인 반면 해외 환경시장은 2020년 1200조 규모의 거대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환경공단은 특히 무상 ODA에 주목하고 있다. 무상 ODA를 통한 환경사업에는 개발도상국 연수생 초청과 우리 측 전문인력 파견, 개발컨설팅, 재난구호 및 복구, 인도적 지원 등이 있다. 우리 공공기관이 이들 사업을 발굴하는 데 긴 시간이 걸리지 않고 실제 사업기간 역시 2년가량으로 짧기 때문이다. 우리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데 별다른 제약도 없다. 유상 ODA가 사업발굴에서 착공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리고 해당 국가에서 타 공공기관 참여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은 것에 비해 수월한 셈이다. 한국환경공단이 오랫동안 개도국 환경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초청연수를 해왔고 중국과 베트남 등 일부 지역에 해외 사무소를 보유하고 있는 것도 무상 ODA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한국환경공단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26개국을 ‘중점 협력국’으로 선정하고 이곳에서 해당 국가의 국가개발계획상 우선순위가 높고 수요가 명백히 확인된 사업을 찾아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들 국가와 초청연수, 국제행사 참여, 기존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현지조사, 양해각서 체결 등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한계도 적지 않다. 한국환경공단 차원에서 건설사업을 발굴하거나 마스터플랜 작성, 사업타당성과 현지조사를 하려면 자체 재원을 확보해야 하나 아직까지 별도의 예산이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해외건설협회, 플랜트산업협회 등 관련 기관에 협조를 구하고 있는 형편이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환경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해외사업 진출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는 한편, 중점협력국에 위치한 해외사무소를 적극 확장해 현지 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