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이슈플러스] 폭염 피해도 양극화… 저소득층 사망률 18% 높다

녹지 적은 지역은 사망위험 18%↑ / 올 온열 질환자 작년比 19% 증가 / 정부·지자체, 취약계층 관리 강화
푹푹 찌는 찜통더위가 맹위를 떨치면서 전국에서 온열 질환자 등이 급증하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노약자를 포함한 취약계층 관리를 강화하는 등 폭염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경북 구미에 사는 A(82)씨는 지난 19일 오후 밭일을 하다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의료진은 A씨가 열사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판단했다. 2011년 이후 온열 질환자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 5월 29일∼7월 19일 온열 질환자는 393명이었지만 올해는 같은 기간 466명으로 19%나 증가했으며 이 중 3명이 사망했다.
이에 따라 ‘대프리카’(대구와 아프리카의 합성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도시 전체가 뜨겁게 달아오른 대구는 폭염 대응을 시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총력을 다하고 있다. 대구시는 시내 교차로 38곳에 그늘막을 설치하고 냉방기를 갖춘 경로당, 금융기관, 도시철도역사 등 977곳을 무더위쉼터로 지정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살수차로 주요 도로에 물을 뿌리고 쿨링포그도 5곳에서 7곳으로 확대 설치했다. 서울 강서구는 ‘폭염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추진반’을 구성해 독거노인과 장애인, 빈곤 가구 등에게 선풍기와 쿨매트를 지원할 계획이다.

전국적으로 폭염이 이어진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돈의동 쪽방촌을 찾은 종로소방서 119안전센터 관계자들이 골목에 물을 뿌려 열기를 식히고 있다. 하상윤 기자
최근 5년간 온열 질환에 걸린 사람은 5910명으로 이 중 58명이 사망했다. 사망자 대다수는 냉방 가동이 어려운 가난한 사람들로 추정된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팀이 2009∼2012년 서울의 전체 사망자 3만3544명을 대상으로 매년 6∼8월 폭염과 지역별 사망자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고 가난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18% 사망률이 높았다.

녹지공간이 적은 곳에 살 경우 사망위험은 18% 증가했고 주변에 병원 수가 적으면 사망위험이 19% 상승했다. 서울의 25개 자치구 가운데 마포, 영등포, 중구, 성북, 서초구에서 이 같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 내 양극화가 다른 자치구보다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 교수는 “폭염으로 인해 취약계층과 취약지역의 사망률 증가가 확인된 만큼 빈곤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