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미세먼지 내뿜는 석탄火電 더 줄인다

자문가 워킹그룹 구성해 논의/감축 부분 LNG로 대체할 듯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석탄화력발전의 전력 공급 비중이 기존 계획보다 더 줄어들 전망이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안에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9∼2033년) 수립을 위한 민간 자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공식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전력수급계획은 2년마다 미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발전설비 등을 설계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앞서 2017년 수립된 8차 전력수급계획(2017∼2031년)은 탈원전, 탈석탄, 재생에너지 확대를 골자로 하는 에너지 전환 정책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은 2017년 원자력 30.3%, 석탄 45.4%, 액화천연가스(LNG) 16.9%, 신재생 6.2% 등에서 2030년 원자력 23.9%, 석탄 36.1%, LNG 18.8%, 신재생 20.0%로 바뀔 전망이다.

9차 전력수급계획은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석탄발전 비중을 기존 계획보다 더 낮추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산업부는 올해 업무보고에서 “노후 석탄발전의 친환경 연료 전환, ‘환경급전’ 본격 시행 등 석탄발전 축소를 통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추가로 감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환경급전은 사회적 환경 비용 등을 감안해 환경에 이로운 발전을 우선 가동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이 큰 것은 발전기 효율과 연료비를 고려해 전기 생산단가가 낮은 발전기부터 가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산단가에 온실가스 배출권, 약품 처리, 석탄폐기물 등 환경비용을 추가하면 석탄과 LNG의 가격 차이가 좁혀진다. 신재생에너지를 단기간에 대폭 확대하기는 어려운 만큼 석탄이 줄어드는 부분을 LNG(액화천연가스)가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