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압색은 상당 부분 수사 진행 아냐”… 김진욱, 대검 의견에 공개 반박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16일 정부과천청사 공수처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장이 강제수사 착수 후 사건 이첩이 어렵다는 대검찰청의 의견에 “납득하기 어렵다”며 공개 반박했다.

 

김 처장은 16일 정부과천청사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압수수색은 (수사)초반의 증거 수집을 위해 하는 것”이라며 “(압색이) 상당한 정도로 수사가 진행됐을 것과는 연결이 안 돼 납득이 어렵다는 점을 우선 말한다”고 밝혔다. 대검은 지난 14일 공수처에 ‘수사 진행 정도’의 경우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착수하면 그 이후엔 이첩을 요청하는 게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와 대검이 충돌하는 지점은 공수처법 24조 1항에서 언급한 ‘수사의 진행 정도’이다. 공수처법에 따르면 ‘수사처의 범죄수사와 중복되는 다른 수사기관의 범죄수사에 대하여 처장이 수사의 진행 정도 및 공정성 논란 등에 비추어 수사처에서 수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이첩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수사기관은 이에 응하여야 한다’고 적시돼있다. 어느 정도로 수사가 진행됐을 경우 공수처가 수사를 직접 하는 것이 맞는지를 따지는 데 아직 합일된 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검찰은 공수처법 조문 자체가 해석의 여지가 많아 공수처장의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서 사건의 이첩이 결정될 수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법원의 영장을 받아 집행한 압수수색이 이뤄진 단계면 수사가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판단, 공수처로 사건을 이첩하는 것을 부적절하다는 논리다. 

 

김 처장은 언론에 나온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을 인용하며 “수사의 기본은 초반에 빠르게 압수수색에 나서는 것”이라며 “이런 신호가 있으면 공수처가 수사에 착수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의견을 냈다”고 소개했다. 김 처장이 인용한 내용은 고려대 차진아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이다. 차 교수는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국정농단 사건’ 당시 검찰의 청와대 압수수색에 어려움을 겪었던 점을 언급하며 “수사의 기본은 물증 확보를 위한 초반 압수수색인데 그때 압수수색이 빠르게 이뤄지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압수수색이 이뤄지지 않는 등) 이 정도의 시그널이라면 공수처가 가져와 수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법조계에서는 김 처장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수사의 기본을 모른다’는 비판도 나왔다. 부장검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압수수색을 한다는 것 자체가 수사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법원의 압수수색 영장 발부가 갈수록 까다로워지는 상황에서 압수수색을 단순히 초반 증거 확보용으로 보는 것은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창훈 기자 corazo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