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출산율 9년 만에 반등 조짐…“저출생 뒤집으려면 사회 인식 변화부터”

2024년 제2차 한·일·중 인구포럼 개최

올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9년만에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중국이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2024년 2차 한·일·중 인구포럼이 29일 열렸다. 전문가들은 저출생 상황을 뒤집기 위해서는 사회 인식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서울의 한 여성병원에서 신생아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뉴스1

◆출생아 수, 출산율 9년만에 반등 조짐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3분기 출생아 수는 6만1288명으로 지난해보다 8.0% 증가했다. 합계출산율도 0.76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늘었다. 2015년 4분기 이후 첫 반등이다. 이 같은 흐름이 유지되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모두 2015년 이후 9년 만에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26일 통계청·유엔인구기금 주최의 저출산·고령화 국제 심포지엄에서 “올해 합계 출산율은 통계청 장기추계치인 0.68, 작년 수치 0.72보다 높은 0.74 내외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출산율 반등 신호는 혼인 관련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올해 9월까지 혼인 건수는 16만1771건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많다. 통계청의 2024년 사회조사에서 ‘결혼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52.5%로, 2년 전보다 2.5%p 늘어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도 68.4%로 2년 새 3.1%p 올랐다.

 

저출산위가 올해 8∼9월 25∼49세 남녀를 대상으로 한 결혼·출산 등 인식조사에서도 미혼 응답자의 결혼 의향이 65.4%로, 3월 조사 때보다 4.4%p나 올랐다.

사진=뉴시스

◆저출생 끊을 ‘사회인식 변화’ 韓日中 사례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중구의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그랜드볼룸에서 ‘저출생 관련 사회인식 변화를 위한 주요 사례 및 정책방향 모색’을 주제로 ‘2024년 제2차 한‧일‧중 인구포럼’을 개최했다. 앞서 9월3일 열린 제1차 한‧일‧중 인구포럼은 ‘동아시아 3국 2030의 사회인식에 기반한 저출생 정책의 시사점 모색’을 주제로 열렸다.

 

이번 포럼에서는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해 사회적 인식 변화와 문화 조성 등에 기여한 한‧일‧중 3국 각계각층의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정책적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포럼은 저출생 정책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총괄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됐다.

 

‘경제계 일‧가정 양립 문화 조성 사례’에 대해 △가족친화우수기업으로 선정된 ㈜남경엔지니어링 윤태열 대표 △일터혁신 우수 인증 기업 테크빌 교육㈜ 박기현 에듀테크부문 대표 △일하는 방식 개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일본 이토추 상사 고바야시 후미히코 부사장이 발표했다. 이어 중국의 일‧가정 양립 우수기업 사례 등에 대해 중국 인구 및 개발 연구센터(CPDRC) 추이링 장 선임연구원이 발표를 이어갔다.

 

‘종교계 인식 변화 사례’는 한국교계 내에서 저출생 인식 변화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는 한국교회총연합 윤대용 과장, 만남템플스테이인 ‘나는 절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의 최현 팀장이 발표했다. 각 지역에서 아빠 육아 문화를 조성하고 있는 100인의 아빠단 사례는 서울 지역 배영 단장이 발표했다.

 

아울러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이인실 원장이 좌장을 맡아 최슬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 계명대학교 언론광고학부 류진한 교수와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최현 팀장, 일본과 중국의 경제계 분야 발표자가 함께 가족 친화 문화 조성과 사회적 인식 변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 방향과 민간의 역할 등에 대해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보건복지부 은성호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은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종교계 등 각계각층에 감사를 드린다”며 “정부는 한국과 일본, 중국의 우수사례를 참고해 각계각층과 함께 긍정적 결혼, 육아 인식 확산과 일, 가정 양립 문화 조성을 위해 범사회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