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예고했던 ‘보편관세’ 정책을 모든 국가에 적용하되 핵심 수입 품목에만 한정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이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의 보좌관들은 여전히 모든 국가의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논의 중이지만, 모든 수입품 대신 국가 또는 경제 안보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특정 제품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 후보 시절 내걸었던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에 비해서는 다소 후퇴한 조치다. 다만 소식통은 “어떤 관세 정책도 확정된 것이 없으면 계획은 여전히 유동적”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 측이 논의하는 ‘핵심 수입 품목’에는 방위산업(철강·철·알루미늄·구리), 의료(주사기·바늘·제약 재료 등), 에너지(배터리·희토류·태양광 패널) 분야가 포함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당선인은 첫 임기 때도 중국산 철강, 알루미늄, 태양광 패널 등에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WP는 “조정된 계획조차도 놀라울 정도로 공격적”이라며 “이 관세 정책이 시행된다면 세계 무역 질서에서 수십 년 만에 가장 큰 도전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