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가 전국 다섯 번째 특례시로 공식 출범하면서 안팎의 관심을 끌고 있다. 시(市) 승격 23년 만에 인구 104만 특례시로 도약한 화성시는 더 나은 행정서비스로 달라진 모습을 선보일 계획이다.
9일 화성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1일 시청 중앙로비에서 정명근 시장과 시의회 관계자 등이 모여 특례시 출범을 기념하는 현판 제막식을 진행했다.
애초 시는 성대한 출범식과 시민 축하행사를 계획했으나 무안공항 항공기 참사가 일어나면서 예정됐던 행사들을 모두 연기하거나 취소했다.
2001년 시 승격 당시 인구 21만 소도시였던 화성시는 이로써 23년 만에 인구 100만이 넘는 대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화성시에 앞서 특례시에 이름을 올린 도시는 경기 수원·용인·고양시와 경남 창원시뿐이다.
아직 법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지만 화성시는 특례시로서 광역시에 준하는 상당한 행정·재정 권한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특례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위를 유지하되, 권한을 늘려주는 지방행정체계이기 때문이다.
화성시는 특례시 승격으로 17개의 행정·재정 권한을 우선 확보했다. 건축물 허가 권한이 확대돼 그동안 21층 이상 건축물은 경기도지사 승인이 필요했지만, 앞으로는 50층 이하 연면적 20만㎡ 미만 건축물은 시장 권한으로 직접 처리할 수 있게 됐다.
또 사회복지급여 소득인정액도 기존 8500만원에서 1억3500만원으로 높아졌다. 기초연금이나 장애인연금·긴급지원 등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혜자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지역 맞춤형 발전 전략 수립도 가능해 신기술창업집적지역 지정 협의, 물류단지의 지정·해제·개발·운영 등을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앞서 시는 특례시 출범 첫해인 올해 5000억원가량의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동탄과 동부, 서부, 중부 4개 권역별 맞춤형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례시 출범을 주도한 정명근 시장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도시 경쟁력 강화라는 청사진을 제시한 상태다. 시민 복지와 문화생활 향상, 선순환 경제 구축, 교통망 확충 등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나간다는 복안이다.
이 같은 계획은 민생경제 회복, 첨단산업 육성,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 균형 있는 도시발전의 4개 핵심 전략에 따라 진행된다.
정명근 시장은 “화성특례시 출범은 역사를 새롭게 쓰는 중요한 순간”이라며 “시민들의 삶이 더 특별해지고 우리가 사는 도시가 더욱 빛나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