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투자를 유보한 영향 등으로 산업대출 증가 폭이 8년 만에 가장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작년 4분기 말 기준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 잔액은 총 1천962조2천억원으로 3분기 말보다 3조3천억원 증가했다.

분기별 산업 대출 증가 폭은 작년 3분기(+17조4천억원)보다 축소됐다. 이는 역시 탄핵 정국 초입이던 지난 2016년 4분기 9천억원 감소 이후 최소 증가 폭이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의 4분기 말 대출 잔액은 483조4천억원으로 3분기 말보다 1조6천억원 줄어 감소로 전환했다.
제조업 대출 잔액이 전분기 대비 감소한 것은 2023년 4분기(-6천억원) 이후 처음이다.
화학·의료용 제품(-1조원), 기타 기계·장비(-1조2천억원),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1조3천억원) 등을 중심으로 대출이 일제히 줄었다.
연말 대출금 일시 상환 등으로 운전자금 대출이 감소했고, 나라 안팎의 불확실성 등으로 시설자금 수요도 둔화한 영향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작년 4분기 말 서비스업 대출 잔액은 1천253조7천억원으로 3분기 말보다 3조9천억원 늘었다. 증가 폭은 3분기 7조5천억원에서 크게 줄었다.
서비스업에선 부동산업 대출이 지역 상업용 부동산 부진, 은행권의 연말 부동산 임대업 대출 관리 등으로 1조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숙박 및 음식점업 대출도 내수 부진에 따른 업황 부진과 폐업 등의 영향으로 3분기 1조3천억원 증가에서 4분기 3천억원 증가로 쪼그라들었다.

건설업 대출액은 건설기성액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3분기 말보다 1조2천억원 줄어든 104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용도별로는 운전자금이 작년 3분기 3조1천억원 증가에서 4분기 3조4천억원 감소로 전환했고, 시설자금은 14조3천억원 증가에서 6조7천억원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
대출을 금융 업권에 따라 나눠보면, 예금은행의 4분기 증가 폭은 1조7천억원으로, 3분기(19조6천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경우 3분기 2조3천억원 감소에서 4분기 1조6천억원 증가로 돌아섰다.
<연합>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