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 축출 후 내전 종식을 선언하고 과도 정부가 들어선 시리아 정세가 다시 요동치고 있다. 과도정부와 아사드 정권을 지지하는 무장세력 간 충돌로 사흘 새 1000여명이 숨지는 등 유혈사태가 심화하면서 내전이 다시 촉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8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시리아인권관측소(SOHR)는 지난 6일 이후 친아사드 무장세력과 과도정부 간 충돌로 사흘간 1018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과도정부군은 125명, 친아사드 무장세력은 148명이 숨졌고 알라위파 민간인 사망자 수는 745명에 달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해 말 러시아로 망명한 아사드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무장세력이 서부 해안도시 라타키아의 자블레 마을 등지에서 매복 공격을 일으키며 시작됐다. 이 일대는 아사드 전 대통령 가문의 출신지로, 아사드 정권의 핵심 지지기반이었던 시아파 이슬람의 한 분파인 알라위파의 근거지이기도 하다.
이번 사태의 근저에 종파 간 혐오가 깔려 있다고 더타임스는 분석했다. 아사드 정권 때는 알라위파가 권력을 쥐고 있었지만, 과도정부를 이끄는 이슬람 무장단체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은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알카에다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 때문에 아사드 정권이 전복된 이후 종파 간 무력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이번 소요 사태에서 사상자가 크게 늘어난 것도 아사드 정권으로부터 거센 탄압을 받았던 수니파 무장세력이 알라위파를 겨냥해 ‘보복전’에 가담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HTS가 과도정부를 세운 이후 소수 종교 보호와 민족·종파 간 화합을 공언해온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이번 사건은 ‘온건 통치’를 표방하며 국제사회에서 ‘정상국가’로 인정받으려는 과도정부에 적지 않은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흐메드 알샤라 임시 대통령은 9일 수도 다마스쿠스의 한 이슬람사원에서 연설을 통해 “위기 상황은 지나갔다”며 “우리는 최선을 다해 국가 통합과 평화를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고 AFP통신 등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