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말~11월 초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에이펙) 정상회의를 불과 7개월여 앞두고 경북도 에이펙 추진단과 경주시 등 관련 기관들이 행사 성공을 위해 전력을 다하는 가운데 국회의 에이펙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이 표류하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여야가 탄핵정국속에 정쟁에 몰두하다 보니 세계적 빅 이벤트인 '에이펙 정상회의'를 도외시한다는 비난을 피할수 없게 된 형국이다.
이에 경북도와 경주시는 에이펙 관련 추경예산안 확보가 녹록치 않자 지방비로 대체하는 등 정상회의가 순탄하게 치러질 수 있도록 동분서주하고 있다.

11일 경북도, 경주시 등에 따르면 에이펙 정상회의를 위해 정부에 요청한 예산은 총 13건, 2613억원이다.
이 중 국비 요청액은 총 981억으로, 이 가운데 이날 현재까지 40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전체 예산 요구액의 4% 수준으로 찔끔 예산 배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에이펙 행사장 보문단지 야간경관 개선사업은 총 사업비 150억원으로 정부 요청액은 75억원이지만 현재까지 한푼도 확보하지 못하자 지방비 150억원을 대체 확보할 방침이다.
△에이펙 정상회의 만찬장 조성사업의 경우 총 사업비 80억원으로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40억원만 확보했다. 정부에 요청한 13건, 981억원 중 유일하게 예산을 확보한 사례다.
이에 경북도와 경주시는 지방비 40억원을 급하게 확보할 방침이다.
△에이펙 문화동행 축제와 관련, 총 사업비 100억원 중 정부요청액 50억원 가운데 한푼도 예산이 반영되지 못했다. 이에 지자체는 이 행사와 관련, 지방비 50억원을 확보한 상태다.
△클린 에이펙 가로경관 개선 사업(정부 요청액 100억원 미확보) △에이펙 정상회의 응급의료대책 사업비(정부 요청액 10억원 미확보) △에이펙 정상회의 주변 관광지 경관 개선 사업(정부요청액 100억원 미확보) 등이다.
△클린 에이펙 가로경관 개선 사업(정부 요청액 100억원 미확보) △에이펙 정상회의 응급의료대책 사업비(정부 요청액 10억원 미확보), △에이펙 정상회의 주변 관광지 경관 개선 사업(정부요청액 100억원 미확보) 등이다.
△에이펙 행사장 도로시설 환경개선 사업(정부 요청액 14억 미확보) △에이펙 숙박시설 정비 사업(정부 요청액 100억원 미확보, 지방비 대체 60억 확보) △에이펙 정상회의장 진입로 확포장 사업(정부 요청액 304억 미확보) △에이펙 기념공원 조성사업(정부 요청액 83억 미확보) △에이펙 개최 기념관 및 여행자방문센터 건립 사업비(정부 요청액 25억 미확보) △에이펙 첨단미디어 융복합 인프라 조성사업비 (정부 요청액 50억 미확보) △지역응급의료센터 확장구축 및 VIP전용병동 조성 사업비(정부 요청액 30억 미확보, 지방비 60억 확보, 동국대 자부담 25억)등이다.

이 가운데 외국 정상들이 방한했을 때 의료 긴급상황 발생시 반드시 필요한 '응급의료대책 사업비'를 비롯 '지역응급의료센터 확장구축 및 VIP전용병동 조성 사업비'가 한푼도 반영되지 않는 등 자칫 외국 국빈들의 긴급 의료 시스템 미작동으로 국제적 망신을 당할 우려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국격의 상징인 해당 국가 정상이 사용할 숙소인 프레지덴셜 로얄 스위트(PRS) 사업과 관련, 소노캄 콘도측은 1700억원의 사비를 들여 전면적인 리모델링 작업에 착수한 상황에서 정부에 요청한 100억원 중 한푼도 반영되지 않아 대한민국 국가 이미지가 훼손될 공산이 크다.
경북도 관계자는 "정부에 요청한 국비가 탄핵정국속에 추경이 언제 열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급하게 지방비라도 확보해 에이펙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치러고자 한다"며 "여야를 떠나 국가적 행사인 에이펙 정상회의가 무리없이 순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국가의 예산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또 "혹여 국비가 지원되지 않을 상황에 철저히 대비해 지방비라도 사용해야 하는 심각한 현실이지만 행사는 반드시 성공시켜야 되지 않겠나?"라고 되물었다.

경주 시민 강모(45)씨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 등 전 세계 21개국 정상들을 초청해 놓고 숙소와 도로경관, 비상응급의료체계 구축 등에 대한 관련 정부 추경예산이 한푼도 반영되지 않아 지방비로 대체한다고 하니 기가막힌다"며 "경주 에이펙 정상회의는 신라 삼국통일 이후 경북도에서 열리는 가장 큰 이벤트인 만큼 여야를 떠나 초당적으로 에이펙 정상회의 성공을 위해 적재적소에 예산이 즉각 지원돼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