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의대생들의 휴학 강요 행위에 대해 경찰에 추가로 수사를 의뢰했다. 연세대는 미등록 휴학을 신청한 학생은 제적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는 등 정부와 대학이 의대생 복귀 분위기 조성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교육부는 2개 대학 의대 학생회 학생들이 다른 학생에게 단체행동 참여를 강요하는 사례가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에 접수돼 경찰에 수사의뢰했다고 11일 밝혔다.

A대 의대 학생회 소속 학생들은 25학번에게 단체행동 참여를 종용하고, 익명으로 실시한 단체행동 참여 의향 수요조사에서 휴학 찬성 의견이 낮게 나오자 실명으로 재투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신입생에게 모든 수업·실습 거부, 휴학 신청서 사본 학생회 제출, 모든 과목에 대한 수강신청 철회 등을 지시하기도 했다.
B대 의대 학생회 소속 학생들은 25학번에게 실명으로 단체행동 참여 수요조사를 한 뒤 찬성 쪽에 치우친 중간 집계 결과를 온라인 단체방에 공지하는 방법으로 반대의견을 가진 학생들을 압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학생에게는 휴학계를 받고 휴학자 실명 온라인 단체방을 만드는 식으로 수업거부 참여를 강요한 혐의도 포착됐다. 교육부는 앞으로도 다른 학생의 학습권 침해 행위에 엄정 대응할 계획이다.
연세대 의대는 미등록 휴학 신청자들은 제적 조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울대와 고려대 의대 학장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조치를 시사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의대생들에게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이제는 반드시 학교로 돌아와야 한다. 지난해와 같은 학사 유연화 등의 조치는 더 이상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