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HD현대, 빌 게이츠 ‘SMR 맞손’… 차세대 원자로·추진선 개발

기사입력 2025-03-13 06:00:00
기사수정 2025-03-12 20:12:15
+ -
HD현대重·테라파워 전략적 협약

테라파워, 4세대 SFR 기술 보유
안전성에 기술 완성도도 뛰어나
핵폐기물 배출 기존의 20분의 1
HD현대 함께 나트륨 원자로 공급

탄소배출 최소화 선박 제작 목표
SMR 탑재 컨테이너선 등 추진

HD현대가 차세대 청정에너지로 주목받는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속도를 높인다. 조선해운업계의 세계적인 탈탄소 기조에 맞춰 액화천연가스(LNG)·암모니아·전기 추진선 등을 도입하는 행보의 최종 단계로 불리는 SMR 추진선 개발을 위한 작업이다.

HD현대의 조선 계열사인 HD현대중공업은 12일 미국 SMR 기업 테라파워와 ‘나트륨 원자로 상업화를 위한 제조 공급망 확장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원광식 HD현대중공업 해양에너지사업본부장, 빌 게이츠 테라파워 창업자 등이 참석했다.

 

HD현대중공업이 미국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 테라파워와 ''나트륨 원자로 상업화를 위한 제조 공급망 확장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빌 게이츠 테라파워 창업자 등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HD현대 제공

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인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SMR 개발사다. 4세대 원자로인 SMR의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SFR은 고속 중성자를 핵분열시켜 발생한 열을 물이 아닌 액체 나트륨(소듐)으로 냉각해 전기를 생산한다. SMR 가운데 안전성과 기술의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협약에 따라 HD현대는 생산기술력과 테라파워의 첨단 SMR 기술을 결합해 나트륨 원자로 공급 능력을 확대하고 상업화에 나설 예정이다. HD현대는 나트륨 원자로에 탑재되는 주기기를 공급하기 위해 최적화된 제조 방안을 연구 및 도출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의 초기 실증 프로젝트를 넘어 본격적인 상업화에 필요한 제조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12월 테라파워로부터 원통형 원자로 용기 제작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해당 원자로 용기는 테라파워가 미국 와이오밍주 캐머러시에 345㎿ 규모로 설치하는 SFR에 탑재될 예정이다.

 

이처럼 HD현대가 SMR에 주목한 이유는 탄소배출을 줄이는 선박을 제작하기 위해서다. SMR은 기존 벙커C유나 LNG 대신 원자력을 원료로 한다. 원료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탄소를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 동력으로 관심받고 있다. SFR은 기존 원자로 대비 핵폐기물 용량이 20분의 1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HD현대는 관련 기술력과 제도와 규제 마련·개선 등에도 적극적이다.

HD현대중공업은 10여년 전부터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한국형 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주요 핵심설비인 진공 용기 개발 및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3월 글로벌 원자력 선도 기관들과 함께 ‘해상 원자력 에너지 협의기구(NEMO)’를 설립했다. 영국 런던에 사무국을 둔 NEMO는 향후 국제해사기구(IMO),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함께 해상 환경에서의 원자력 배치, 운영 및 해체에 이르기까지에 대한 글로벌 표준과 규정을 수립하고 해상 원자력 상용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HD현대의 최종 목표는 SMR 추진선 개발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달 SMR 기술을 적용한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앞서 HD한국조선해양은 국제적인 선박 성능인증 기관인 미국선급(ABS)으로부터 SMR 기술을 적용한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설계모델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획득했다.

원광식 본부장은 “이번 협약이 HD현대가 제조업 분야에서 쌓아온 폭넓은 경험과 앞선 기술력이 나트륨 원자로의 상업화 기반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협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원자력 에너지 솔루션의 상업화를 가속화하고 글로벌 SMR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