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했다가 5시간 만에 철회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미국 경제의 불안정성도 가중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오전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에 적용할 관세율인 25%에서 25%를 더한 50%의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산 목재 및 낙농 제품 관세 부과에 대해 전날 캐나다가 온타리오 주정부가 미국으로 가는 전기에 25 수출세를 부과하겠다고 맞불을 놨고,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또 다시 재보복 조치를 발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캐나다가 관세를 내리지 않을 경우 나는 4월2일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대폭 올릴 것”이라며 “이 조치 시 캐나다에서 자동차 제조업은 영구적으로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위협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불과 5시간 뒤 상황이 바뀌었다. 캐나다와 미국의 공동 성명이 나온 것이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엑스(X·옛 트위터)에 공개한 미 상무부와의 공동성명에서 “온타리오주는 미 미시간·뉴욕·미네소타주로 수출하는 전기에 부과하던 25% 할증료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고 적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미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추가 관세는 발효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인했다. 미국과 캐나다가 하루새 서로 보복, 재보복 카드를 꺼냈다 철회하며 보인 혼란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스러운 관세정책 리스크를 보여준다는 평가다.

한편 미국이 12일 0시 1분을 기해 모든 국가에 예외없이 부과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대해서는 세계 각국에서 보복조치 발표가 이어졌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다음달 1일부터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 버번위스키, 리바이스 청바지 등 미국의 상징적 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별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맞서 도입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취임 이후 중단한 ‘재균형 조처’를 다시 도입하는 것이다. 다음달 13일부터는 2단계 대응으로 공화당 소속 의원들 지역구의 수출 주력상품 등 ‘공화당 민감 품목’이 표적이다.
각국은 관세 전쟁의 추이를 살피며 자국 사정에 맞는 대응책을 찾기 위해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인도부터 유럽에 이르기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직면한 각국 지도자가 맞불을 놓았을 때 영향을 가늠하기 위해 캐나다 사례에 주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