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실에 설치된 작은 농구 코트에서 AI 로봇이 덩크슛을 성공시키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구글의 로봇 개발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구글의 AI 연구 조직인 딥마인드는 12일(현지시간) 자사의 주력 AI 모델 ‘제미나이 2.0’을 기반으로 한 로봇 특화 AI 모델 ‘제미나이 로보틱스(Gemini Robotics)’와 ‘제미나이 로보틱스-ER’을 발표했다.
‘제미나이 로보틱스’는 보다 정교하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로봇 개발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제미나이 로보틱스-ER’은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로봇 제조업체들이 AI의 추론 능력을 활용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구글 딥마인드의 엔지니어 카니슈카 라오는 “제미나이 모델을 로봇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로봇(general purpose robotics)’ 개발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며 “우리의 세계는 복잡하고 역동적이므로, 범용 지능을 갖춘 로봇이 이런 혼란 속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공개된 시연 영상에서는 AI가 적용된 로봇이 다양한 명령을 수행하는 모습이 소개됐는데 한 로봇은 알파벳이 적힌 블록을 이용해 단어를 만들었다.
다른 로봇은 가방의 지퍼를 닫거나 점심 도시락을 가방에 넣는 작업을 수행했고 실험실에 설치된 작은 농구 코트에서 로봇이 ‘덩크슛’ 명령을 수행하며 작은 플라스틱 공을 골대에 넣기도 했다.
라오는 “로봇이 농구공으로 덩크슛을 하는 모습을 처음 봤을 때 팀원들이 매우 흥분했다”며 “이 로봇은 농구를 본 적이 없지만, 제미나이 모델을 통해 농구 골대의 형태와 ‘덩크슛’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세계에서 이를 실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AI 기반 로봇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테슬라는 올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장에 배치할 예정이며, 메타(페이스북 모회사)와 오픈AI도 로봇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구글 역시 로봇 연구를 재개하고 있다. 구글은 2013년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는 등 로봇 개발에 투자했으나, 이후 2017년 소프트뱅크에 매각했다. 이후 로봇 개발 조직을 구글X로 통합했고, 2021년에는 쓰레기 분류와 같은 일상 업무를 수행하는 로봇을 개발했으나, 2023년 대규모 구조조정과 함께 관련 부서를 해체했다.
하지만 구글은 로봇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하지 않았으며,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연구를 다시 시작했다. 현재 ‘초기 탐구’ 단계에 있으며, 제미나이 모델이 물리적 환경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해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로봇 기업 앱트로닉(Apptronik)과 함께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이다. 또한 여러 기업과 협력해 제미나이 모델을 로봇에 적용하는 실험을 지속할 계획이다.
AI와 로봇 기술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지능형 로봇의 실용화가 더욱 가까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