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나라는 불연 재료에 준하는 방화 성능을 가진 준불연 성능의 폴리스티렌 신소재 개발에 성공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13일 밝혔다.
신소재는 깨끗한나라와 건축자재 소재 생산업체 엔디텍이 3년간 협력해 개발한 것으로 폴리스티렌 소재와 불연성 약품을 혼합한 소재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들었다.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열재는 폴리스티렌 계열 소재로 단열 성능이 우수하지만, 화재 발생 시 불길이 급속히 확산하고 유해가스가 대량 방출된다는 문제가 제기돼왔다.
기존에도 준불연 폴리스티렌 소재가 개발됐지만 폴리스티렌 소재 표면에 난연액을 도포한 것으로 화재 시에는 난연액이 벗겨져 결국 소재 자체에 불이 붙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기존 준불연 폴리스티렌 소재보다 가연성을 낮추고 유독가스 발생량을 줄여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 가능성을 최소화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깨끗한나라는 신소재의 성능 시험을 마친 후 올해 안에 본격적인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준불연 단열재 시장뿐만 아니라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신소재를 적용할 예정이다.
조두영 깨끗한나라 미래전략실 책임은 "후속 연구개발로 해당 기술을 점차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자원 순환을 기반으로 산업 발전을 조화롭게 이끄는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