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이복현 “홈플러스 관련 다양한 소통중… 금융사 검사 불가피”

기사입력 2025-03-13 13:33:41
기사수정 2025-03-13 13:33:40
+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기업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대형마트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금융회사들에 대한 검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원장은 13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업·주주 상생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열린 토론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주 중으로 계획을 짜서 금융위원회에 보고한 뒤 지침을 받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3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업·주주 상생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열린 토론'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 원장은 “지금 단계에서는 법원 (회생)절차로 들어가는 홈플러스가 심리적 쏠림으로 인해서 정상적인 운영이 안 되므로 인한 부작용을 제일 주되게 볼 수밖에 없다”라며 “그런 관점에서 금융회사나 홈플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관계자와 소통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홈플러스 거래 대상이 되는 3500개 거래업체 명단과 거래내역, 미지급 내역 등을 확보해 정부에서 필요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밑자료를 준비해놓은 상태”라며 “1차적으로는 금융회사를 상대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한 자료 수집 등 작업들은 이미 진행 중이고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의 검사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전단채 판매 문제라든가, ‘세일앤리스백’(매각 후 재임대) 과정에서 리테일(소매)로 떨어진 것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한 판단을 위해 감독기관으로서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다음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점검을 한다고 해 여러 가지 것들 챙겨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 사태의 파장은 금융권으로도 번지고 있다. 홈플러스 카드대금채권을 유동화한 전자단기사채(ABSTB)를 샀다가 손실을 본 투자자들은 전날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들의 채권을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달라고 촉구했다. 홈플러스가 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금융채권 상환이 유예됐는데, 회생절차에서 상거래채권으로 인정되면 금융채권보다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롯데카드와 현대카드는 이번 사태로 단 한 푼의 피해도 입지 않고 손실을 전단채 피해자들에게 전가하고 말았다”며 “이번 사태는 홈플러스와 카드사가 모의해 고의로 일으킨 범죄행위”라고 주장했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