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13일 “미국 등으로 수출되지 못한 철강재 등이 국내시장으로 급격히 유입돼 시장 교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해달라”고 관계부처에 주문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부과 조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 대행은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과 관련된 중소기업 영향이 클 수 있다”면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관세대응 119’를 지원창구로 지정해 중소기업들의 초기 대응을 적극 지원하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대미 협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대행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이 무역과 경제 분야에서 더욱 균형 잡히고 상호이익이 되는 관계를 추구해 궁극적으로 한·미동맹을 격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인터뷰 보도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발효한 가운데 이뤄졌다.
최 권한대행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소통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면서 기회가 주어질 경우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일시적’임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한국 기업의 미국 현지 직접투자 확대로 중간재 수출이 늘어난 게 대미 무역흑자의 일시적 증가로 이어졌으며, 중간재 수요가 줄면 흑자 규모가 축소될 것이란 게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