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뉴욕증시, 반등 후 또 급락… 애플, 시가총액 2위로 하락

기사입력 2025-04-09 09:29:10
기사수정 2025-04-09 09:29:09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후폭풍으로 뉴욕증시가 급변동 속에 다시 급락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에 맞서 중국이 보복관세 방침을 내세우자, 다시 트럼프 대통령이 50%의 추가 관세로 재보복에 나서면서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AFP연합뉴스

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20.01포인트(0.84%) 하락한 3만7645.5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79.48포인트(1.57%) 내린 4982.77, 나스닥종합지수는 335.35포인트(2.15%) 하락한 1만5267.91에 장을 마쳤다.

 

이날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50%의 관세를 추가하기로 하면서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가 확산했다.

 

백악관은 중국이 대미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았다며 9일부터 중국에 예고한 104%의 관세가 적용된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이달 초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한 관세 54%에서 다시 50%를 추가한 것이다.

 

이 같은 조치에 뉴욕증시는 장 초반 강세 분위기를 보이다가 급락 반전했다.

 

나스닥 지수는 장 중 4.57%까지 올랐으나, 백악관 발표 후 급락 전환하며 낙폭이 3.52%까지 벌어졌다.

나스닥의 대표 종목이자 중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큰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 주가는 이날 급락해 5% 하락 마감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애플스토어 앞으로 우산을 쓴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날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4.98% 내린 172.4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해 5월 2일(종가 172.22달러)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애플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전날까지 지난 3일간 19% 급락하며 ‘닷컴 버블’ 붕괴 이후 최악의 하락이라는 평이다. 여기에 이날 또 하락하면서 4거래일 동안 주가 하락 폭은 23%로 커졌다.

 

이번 하락으로 애플의 시가총액도 2조5900억 달러로 줄어들며 마이크로소프트(MS)에 시총 1위 자리를 내줬다.

 

이날 S&P500 지수도 상승폭을 4.05%까지 늘렸으나 -3%까지 하락 반전했다.

 

미·중 무역갈등이 커지면서 위안화 가치도 빠른 속도로 약해졌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이날 7.42위안을 상회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스 분석가는 “25년 동안 기술주를 다루면서 닷컴 버블과 폭락, 금융위기, 유럽 부채 위기,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그사이의 모든 것을 경험했지만 트럼프의 관세는 그중에서도 가장 큰 참사”라며 “그것은 순전히 그가 자신에게 가한 것이고 ‘단기적 고통’에 대한 논리가 크게 잘못 계산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브레이브이글웰스매니지먼트의 로버트 루기렐로 최고투자책임자는 “관세 협상에 대한 낙관적 전망으로 이날 상승세가 나타났으나 반등세가 지속되려면 무역정책이 더 안정돼야 한다”며 “기업이 장기적인 자본 배분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속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