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주택 정비 사업 중심으로 추진돼 온 서울시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이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으로 확대된다. 노후한 도심지의 활성화와 환경 개선에 시가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신통기획 및 공공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신통기획은 시가 재건축 계획을 짜는 단계에서부터 신속한 사업 추진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기존에는 주거지 재개발 사업에 주로 적용돼 왔다. 최근 결정된 ‘2030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도심 내 정비예정구역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 대상지에 신통기획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
도시정비형 재개발은 상업지역 등에서 도시기능 회복과 활성화를 목표로 시행하는 정비 방식이다. 공공이 우선 토지이용·기반시설·건축물 밀도 등에 대한 계획(공공정비계획)을 수립한 뒤에 단위사업별로 민간사업자가 세부 건축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시는 이를 통해 △중심지 기능 복합화 △녹지생태도심 조성 △직주혼합도시 실현을 위한 계획과 역사·문화유산 등 정책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비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민간 참여도 적극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개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행가능한 사업 단위 및 용도계획을 설정하고,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인센티브 계획으로 민간 사업 참여 동력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공공정비계획 수립 후에는 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신통기획 자문’을 적용해 절차를 간소화할 방침이다.
조남준 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그간 각종 규제로 한계에 직면해 있었던 도심 개발에 새 숨을 불어넣게 될 것”이라며 “노후한 도심 정비를 앞당겨 서울의 성장과 혁신을 이끄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후 도심지 재개발도 ‘신통기획’ 적용
서울시, 2025년 사업계획 수립 착수
기존 주거지 위주서 대상 확대
민간 참여도 적극 유도하기로
기존 주거지 위주서 대상 확대
민간 참여도 적극 유도하기로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Copyrights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