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오는 15일까지 진행하는 산림작물 피해 현황 조사에서 송이를 포함한 임산물 피해를 반영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한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15일까지 이어지는 중앙합동조사 후 복구계획을 확정하면 버섯 등 재배시설과 호두·밤·대추 등 산림작물의 소실에 따른 피해 복구 방안을 마련한다. 여기에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등의 복구비를 지원한다.

문제는 송이다. 경북에서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은 전국 송이 생산량의 43%를 차지하는 주산지다. 그러나 재배작물이 아닌 자연발생에 의한 채취 임산물로 정부 지원 복구 대상에서 제외됐다. 산불로 타버린 송이 산에서 다시 송이를 생산하기까지는 40~50년이 걸린다.
도 관계자는 “송이 등의 채취 임산물에 대한 피해조사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며 “산불 피해 임지에 송이를 대체할 단기소득 임산물을 조성할 수 있는 사업이 이번 추경 지원사업에 반영되도록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도는 산불로 사유재산 피해가 발생한 임업인에게 ‘임업 재해복구자금 융자’를 지원한다. 재해복구비의 융자금을 연 1.5%의 고정금리로 5년 거치 10년 상환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대출을 받은 임업경영자금은 상환을 연기하거나 이자 감면을 지원한다.
조현애 도 산림자원국장은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산림을 복원해 임업인이 산을 가꾸며 소득작물을 생산하는 일상을 회복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