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경기 침체 우려에 ‘숨 고르기’… 中만 정조준

기사입력 2025-04-10 18:10:00
기사수정 2025-04-10 21:37:22
+ -
13시간 만에 상호관세 유예 왜?

美 재무 “75개국이 우리와 접촉
韓 등 알래스카 LNG 판매 원해”
NYT “국채 수익률 급등 탓 유예”

맞대응 中 “대화의 문 열려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상호관세 부과 13시간 만에 전격적으로 관세 부과를 90일 미룬 것과 관련해 각국과 ‘맞춤형 협상’을 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국내 경기침체 우려가 계속되고 주가가 급락하는 등 경제 상황을 고려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신 중국에 화력을 집중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주식시장 급락 때문에 상호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많은 요청이 있었고 75개국이 우리를 접촉했기 때문”이라며 “각 국가에 대한 해법은 맞춤형으로 할 텐데 시간이 약간 걸릴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90일 유예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통해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을 언급하며 한국, 일본, 대만이 알래스카 LNG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대고 이 사업에서 채굴한 LNG 상당량을 구매하는 데 관심을 보인다고도 설명했다.

 

하지만 미 언론은 국내 경제 혼란이 더 큰 이유였다고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직접 관여한 네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바꾸게 만든 것은 시장”이라며 “경제 혼란, 특히 국채 수익률의 급등”이 고율관세 정책을 철회한 원인이 됐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보복관세로 맞대응한 중국에 1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관세 정책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려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잘 알고 그들은 아직 방법을 모르지만 협상을 원한다”며 “모든 국가와 협상이 이뤄질 것이고 중국과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협상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톱다운 협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제기되는 이유다.

 

중국은 일단 미·중 무역전쟁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대화 가능성을 내비쳤다. 미국산 수입품에 8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중국은 이날 상무부 브리핑을 통해 “대화의 문은 열려 있지만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평등한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중국은 미국의 강압적 관세에도 수준 높은 대외 개방을 확고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린젠(林劍)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미·중 양국과 국제사회의 이익을 무시한 채 관세 전쟁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베이징=홍주형·이우중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