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광명시 ‘시민안전대책위’ 구성…‘신안산선 붕괴’ 재발 방지 촉구

기사입력 2025-04-13 05:06:40
기사수정 2025-04-13 05:06:39
+ -
광명시·경기도, 신안산선 붕괴사고 현장·주변 합동점검 진행
국토부에 정밀점검·안전대책 요청…시공사에 주민설명회 요구

경기도와 광명시가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 붕괴사고와 관련해 추가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을 강화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이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 현장에서 안전 대책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광명시 제공.

광명시는 12일 도와 협력해 전문가와 함께 붕괴사고가 발생한 신안산선 제5-2공구 현장과 인근 지역에서 대대적인 합동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고 현장 인근 주민들이 참여하는 ‘시민안전대책위원회’도 꾸릴 방침이다. 위원회는 전문가 조언을 받아 안전 실태를 투명하게 관리하도록 운영된다. 

 

박승원 시장은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과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의 철저한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며 “사고가 난 현장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함께 신안산선 광명시 잔여 구간을 대상으로 국토부가 정밀 안전점검을 시행해 유사 사고를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이어 “사고 수습은 물론 추가 안전사고 예방,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 피해 복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철저히 관리하겠다”면서 “그동안 여러 차례 터널 공사현장으로 내려가 안전 상황을 살펴왔던 만큼 이번 사고가 더욱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광명 지하터널 공사 붕괴 원인은 공법보다 현장문제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붕괴 현장에 적용된 투아치 구조 공사 중 터널이 붕괴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충남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 일원을 통과하는 구례터널 공사현장에선 2012년 11월에 이어 2014년 7월에도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감사원은 이 사고에 대한 감사를 벌여 1차 사고는 터널이 토양의 하중을 버티지 못해 발생했고, 이에 따라 보강설계 업체는 추가 지반조사를 거쳐 보강설계를 해야 했지만 설계 기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 과정을 생략해 2차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광명시는 신안산선 공사 시행사인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 넥스트레인㈜에 실질적인 안전대책을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다.

 

우선 시행사 주관의 주민설명회를 열어 시민에게 직접 안전대책을 설명하고, 투명한 공사 관리와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도록 촉구할 예정이다.

 

이번 사고는 이달 11일 오후 3시13분쯤 광명시 일직동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광명=오상도 기자 sdo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