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스마트폰·노트북 등 최근 상호관세에서 제외된 전자기기들이 한 달 내로 발표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자기기 관세 면제는 일시적 조치에 불과하며 결국 별도의 관세가 부과될 것임을 시사한 발언이다.
러트닉 장관은 13일(현지시간) 미 ABC 방송 인터뷰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모든 전자제품은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라며 “이러한 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이 일시적으로 면제되지만 한 달 후에 다른 형태로 다시 부과될 것이냐’는 질문에 “맞다”라고 명확히 답했다.

앞서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제외 대상에 포함했다. 당시 일각에서는 전자제품 가격 폭등을 피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과 함께 별도의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한 사전조치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러트닉 장관은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 “반도체 관세는 한 달 정도 후에, 의약품 관세는 한두 달 내에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12일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마이애미로 이동하는 에어포스원(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과 만나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해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며 “월요일(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에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 예를 들어 의약품과 반도체를 중국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미국 내에서 생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건 영구적 면제 조항과 다르다. 각국이 협상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걸 분명히 하고 있다”며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것들”이라고 덧붙였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발표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미국이 중국과 “부드러운 접근”을 해왔다고 전했다. 이는 본격적인 협상에 앞서 양국 간 비공식 접촉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