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으로 3년여 만에 집권여당 지위를 회복한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야당과의 협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이 취임 일성으로 ‘협치’와 ‘통합’을 내세운 만큼 당도 이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이며, 과거 거대 야당 시절의 입법 독주와 잦은 탄핵 시도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당내 4선 중진이자 친명(친이재명)계 핵심인 정성호 의원은 4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주의의 기본원리가 소수자의 권리나 주장도 존중해야 하는 것 아니냐. 국회에서부터 그런 게 구현돼야 된다고 본다”며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소수 야당과 협력하고 대화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민주당 법안들에 대해서도 “거부권을 행사한 법률에 대해서는 좀 더 여야가 논의하려고 하는 자세들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성준 의원은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예상으로는 이재명 대통령 득표율이 과반을 무난히 넘을 거라 기대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며 “한국 정치지형에 양 진영이 확실하게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국민들은 성과가 없을 경우에는 또 채찍도 들기 때문에, 엄중한 시기 위기를 극복해서 성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환 의원 역시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다수라 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건 국민의 공론”이라며 “최대한 대화하고 타협하고 국민적 공감을 얻기 위한 노력을 기반으로 의회 내 민주적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오는 13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하기로 했다. ‘이재명정부’ 출범 후 첫 원내 사령탑인 만큼 집권 초기 국정 운영에 힘을 실을 수 있는 인물에게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거론되는 유력후보군으로는 4선 서영교 의원, 3선 김병기·김성환·조승래 의원(선수·가나다순) 등이다.
원내대표 경선에는 의원단 투표와 함께 권리당원 표심 20%가 반영된다. 민주당은 지난해 6월 당규 개정을 통해 원내대표 및 국회의장 후보 선출 시 권리당원 투표를 20% 반영하도록 했다. 민주당은 오는 12∼13일 권리당원 투표를 진행하고, 13일 국회의원 대상 투표를 진행해 새 원내대표를 최종 선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