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마무리 된 21대 대통령선거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49.42%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그에게 표를 준 사람은 1728만7513명이다. 수도 서울에서는 310만5459명, 47.13%의 유권자가 이 대통령에 표를 주었다.

3년 전 이 대통령은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0.73%, 24여만표 차이로 석패했다. 그 원인 중 하나가 서울에서의 패배다. 서울에서 이 대통령은 윤 전 대통령에게 31만766표, 4.83%포인트를 덜 받았다. 그리고 그 이유는 ‘부동산’ 이었다. 문재인 정부에서의 부동산 실패 정책 등으로 인해 서울 지역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자 서울시민들은 보수정당에 더 표를 주었고 진보정당에는 덜 표를 주었다. 3년 전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우세했던 서울시 자치구는 총 14곳으로 이 중 13곳(서초, 강남, 송파, 용산, 성동, 마포, 광진, 양천, 강동, 중구, 영등포, 종로, 동작)의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은 약 3900만원∼7200만원대로 서울시 내 1∼13위를 차지했다.
3년 뒤 이 대통령은 전국적으로는 113만9775명에 더 표를 받았고, 서울에서는 16만478명이 그에게 더 표를 주었다. 광역자치단체별로 따질때 3년 전 대비 이 대통령은 경기도(39만2997명) 다음으로 서울에서 더 많이 표를 받았다.
민주당 이연희 의원과 한국도시연구소가 함께 연구한 결과, 윤석열 정부 출범 초기 2년간 서울 집값은 39% 상승했다. 결과적으로 이 수치를 놓고 보면 이번 선거에서 ‘부동산’은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 셈이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달라진다.

선관위의 개표결과중 서울 25개구로 나뉘어 분석해보면 이재명 대통령은 보수 우세 지역인 서초, 강남, 송파, 용산구 총 4곳에서 김 후보에게 졌다. 서초에서는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21.07%포인트 격차가 났고, 강남, 용산, 송파에서는 각각 24.35%포인트, 6.46%포인트, 4.48%포인트 뒤졌다.
해당 자치구들은 서울시 내 아파트 평균 가격이 가장 높은 4곳에 속한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서초구는 3.3㎡당 평균 가격이 8127만원으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강남구 8083만원, 용산구 5865만원, 송파구 5821만원 순이었다. 이번 대선에서 접전이었던 성동구의 경우 3.3㎡당 평균 4833만원으로 다섯번째로 높았다.

강남 3구는 전통적으로 서울 내 ‘보수의 심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고소득층과 자산가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상대적으로 감세 친화적인 보수 정부를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다. 김 후보의 적극적인 ‘세제 완화 공약’도 보수정당 지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우선 부동산 공약으로는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 장기 보유 또는 65세 이상 보유자에 대한 양도세 감면, 종합부동산세(종부세) 폐지 등을 약속했다. 또 기존 유산세를 개별 상속인이 취득한 재산에 한해 과세하는 ‘유산취득세’로 전환하는 상속세제 개편안을 내놨다.
서울 민심의 변화는 ‘강북’의 변화에서 도드라진다. 이 대통령은 성동을 포함해 광진 48.09%, 마포 48.41%등 문재인 정부에서 아파트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한강벨트 강북 권역 중 용산을 제외하고 승리했다. 3년 전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승리한 지역이었다.
민심 변화는 ‘12·3 비상계엄’의 영향도 있지만 민주당의 ‘우향우’ 부동산 정책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민주당은 상속세 공제 한도를 기존 10억원에서 18억원까지 높이는 상속세법 개정안을 추진해왔다. 이 대통령은 당대표 시절 배우자 상속세를 폐지하자는 국민의힘 주장에 동의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