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HMM 본사 부산 이전’이 지역 경제계의 ‘뜨거운 감자’다.
이 대통령은 대선 때 자신하며 여러 차례 공약했는데, HMM 육상노조가 반발하고 나서면서 공약이 실현될지 초미의 관심사다.
6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의 본사 부산 이전은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해 3월 취임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처음 언급한 의제다.

HMM이 부산으로 이전하면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과 부산신항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선용품 공급 등 해운관련 용역업의 협력사업 확대, 일자리 창출, 해양 관련 금융 활성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이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처음 이를 언급한 것은 지난달 14일 대선 후보 시절 부산을 방문했을 때였다.
그는 “HMM은 민간회사이지만 정부가 자금을 출자했기 때문에 (본사의 부산 이전에 대한) 마음먹으면 불가능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다 지역 공약에 ‘HMM 부산 이전’이 제외됐다는 이야기에 직접 해명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민국이 세계를 선도하는 해양강국으로 도약하려면 부산을 해운산업의 성장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면서 “HMM을 부산으로 옮겨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 유세에서 약속드린 HMM 본사 부산 이전은 지금도 유효하며 반드시 지켜질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한국해양진흥공사‧한국산업은행‧국민연금공단이 HMM의 지분 77%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의지에 따라 본사 이전을 추진할 수 있는 상황이다.
과거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HMM 본사 부산 이전 공약이 언급됐지만 실현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 어느 때보다 현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부산 지역 경제계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본사 이전을 강하게 반발하는 육상노조를 설득해야 한다.
HMM 육상노조는 이달 4일 입장문을 통해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크게 훼손하는 정치 폭력을 당장 중단하길 강력히 촉구한다”며 반발했다.
육상노조의 반발 속에서도 부산상의를 비롯한 지역 경제계의 HMM 부산 이전 기대는 점점 커지는 분위기다.
양재생 회장은 이날 “HMM의 해외 영업에 필요한 조직은 서울에 남겨두고 나머지 기능을 부산으로 옮겨올 수 있도록 HMM과 정부, 지역 경제계가 힘을 모은다면 부산을 해양물류 허브로 발전시키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