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태안화력 끼임 사고’ 故김충현씨 추모 문화제…“이재명 대통령, 만납시다”

기사입력 2025-06-07 08:12:07
기사수정 2025-06-07 08:12:05
+ -
“유족 위로하는 길, 철저한 진상규명”
대책위, 인력 확충 및 고용 보장 요구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님과 힘 있는 사람들께 요구합니다. 비정규직도 정규직과 같은 똑같이 소중한 목숨이고 사람입니다. 비정규직은 사람이 아닌듯한 현대판 노예제도를 반드시 없애주십시오. 산업안전보건법(산안법)을 더 넓게 포용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을 강화해 산재 사망이 없는 선진국으로 만들어 가는 데 국민 모두 함께해 주십시오.”

 

5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태안화력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충현 사망사고 1차조사발표 기자간담회에서 권영국 김용균특조위 간사가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고(故) 김용균씨의 어머니 김미숙씨가 6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 인근에서 열린 고(故)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를 추모하는 문화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충현씨는 2018년 12월 사고로 사망한 고 김용균씨가 일하던 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이달 2일 홀로 정비 작업 중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서부발전은 발전소 정비 업무를 한전KPS에 위탁했고, 김씨는 한전KPS의 하청업체 소속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미숙씨는 “6년이 지난 지금 또 다시 아들과 똑같은 죽음을 마주했다”며 “그때 했던 약속이 오늘날 아직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고 김충현님 죽음으로 우리는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씨의 동료 김영훈 공공운수노조 한전KPS 발전비정규직지회장은 무대 위 영정사진에 헌화한 뒤 “고인의 사망은 구조적 타살”이라고 외쳤다. 이어 “유가족분들을 위로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철저한 진상규명과 확실한 책임자 처벌, 원청의 진심어린 사죄뿐”이라고 했다.

 

김용균 특조위 간사를 지낸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도 목소리를 냈다. 권 대표는 “하청 구조를 폐지하고 정규직화를 이행해야 노동자의 죽음 행렬을 우리가 막을 수 있다”며 “게다가 발전소 폐쇄를 앞둔 현재, 발전소 폐쇄를 핑계로 안전은 더욱 도외시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하청노동자들은 발전소 폐쇄보다 더 빠르게 위험에 내몰리거나 고용 불안의 한계치에 내몰릴 것”이라며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생명과 생존권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책위는 추모 문화제를 마친 뒤 대통령실을 향해 행진했다. 동시에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만나달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요구안을 담은 서한을 전달했다. 요구안에는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한전KPS 하청노동자 직접고용 정규직화 △위험업무 2인 1조 등 현장 인력 확충 및 안전 대책 △발전소 폐쇄 관련 노동자 고용 보장 등 대책 마련 등이 담겼다.


이지민 기자 aaaa3469@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