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부산 북을 국민의힘 박성훈 “정부·여당, 민생에 더 방점 두고 소통해야” [22대 당선자에게 듣는다]

“기재부 출신 경제전문가 자부심
철도 지하화 대비 상부 개발 등
부산지역 발전 법안 통과에 최선”

“앞으로는 정부·여당이 민생에 좀 더 방점을 두고 나아가야 합니다. 경제 정책과 관련해서도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한데 그 부분에 있어 잘못됐거나 소홀했던 게 있다면 바로잡는 노력이 더 필요합니다.” 

국민의힘 박성훈 당선자(부산 북을)가 지난 26일 서울 용산구 세계일보 사옥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 당선자는 “품격 있고 약속을 지키는 정치인이 되겠다. 이념보다는 민생에 집중해 목소리를 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남제현 선임기자

4·10 총선에서 부산 북을 지역구에 당선된 국민의힘 박성훈 당선자는 26일 서울 용산구 세계일보 사옥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정부·여당이 총선 참패 이후 나아갈 길로 ‘민생’과 ‘소통’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을 지냈고 총선 출마 전까지 해양수산부 차관직을 수행하며 윤석열정부 내각에서 국정을 두루 경험한 박 당선자는 “여당이 앞으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민생에 집중하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며 “여야가 다투기보다는 좀 더 책임감 있게 민생을 챙기고 민생 정책을 시리즈로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전히 여소야대 국면이긴 하지만 22대 국회는 21대와는 달라져야 한다. 야당과의 소통을 늘려 협치하고 당 내부적으로도 좀 더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낼 필요가 있다”며 “22대 국회에서는 대통령께서도 소통에 방점을 찍겠다고 하셨고 야당과 더 많이 소통하겠다고 하셨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 진일보한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념 충돌보다는 민생에 집중하는 22대 국회가 됐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밝혔다.

 

이번 총선에서 참패한 여당이 PK(부산·경남) 지역에서는 선방한 것과 관련해 그는 “결정적으로 보수층의 결집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박 당선자는 “낙동강 벨트는 본래 수도권과 동조화가 심한 지역임에도 200석 개헌 저지선 붕괴에 대한 불안감이 보수층을 모이게 한 것 같다”며 “민주당에서 탄핵·개헌을 얘기하고 정권심판론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PK에서는 반작용이 강해졌다. 특히 수도권 (여당) 전멸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하며 PK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반작용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이 산업은행 부산 이전 등 부산 지역민들이 기대감을 품는 정책들은 거론하지 않고 지역 발전 의제에 다소 소홀했던 점이 여당의 선전으로 이어졌다고 봤다. 

다음은 박 당선자와의 일문일답.

 

—기획재정부 출신인 데다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역임한 ‘경제전문가’로 불린다. 올해 경제 상황이 어떻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 어려운 민생 경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한다고 보시나.

 

“부산에 많은 정치인들이 계시지만 기재부 출신은 저밖에 없다. 18명의 부산 지역 당선자 중 제가 유일한 기재부 출신이다. 경제전문가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 기재부와 부산시에서 많은 일을 해왔던 부분에 대한 지역 주민의 신뢰가 있었던 덕에 당선도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올해 하반기에는 미국 경제가 ‘소프트랜딩(Soft landing·연착륙)’한다는 전제 아래, 물가 하락 및 견조한 민간소비 등으로 세계 경제는 양호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경제도 좋아질 걸로 본다. 경제 정책의 경우 특히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 경제 정책의 변동이 심하면 사람들이 그에 맞춰 행동할 수 없고 소비자들도 합리적 기대를 할 수 없다. 일관성을 유지하고 국민이 정책에 대한 신뢰감을 갖게 하는 것이 민생 경제 정책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PK에서의 선전과 별개로 전체적으로 봤을 때 여당이 이번 총선에서 참패한 원인은 뭐라고 분석하나.

 

“결국은 소통의 문제라고 본다. 그동안 (대통령에게) 불통의 이미지, 일방통행의 이미지가 있었고 당도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끌려가는 것처럼 보이는 모습들이 누적돼있다가 선거 기간에 황상무 수석 발언 논란 등과 오버랩 되면서 굉장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 같다. 소통 부족이 정권심판론을 더 강화하는 기재로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정권심판론을 누를 수 있는 건 민생에 대한 공약이나 고민이었는데 여당 지도부에서 이런 부분에 좀 소홀했던 것 같다. 우리가 민주당의 정권심판론에 맞서 똑같이 ‘이·조(이재명·조국)심판론’으로 붙었지 않나. 복기해보자면, 여당이 야당심판론을 들고나오는 것보다는 민생에 대한 현실성 있는 대안들을 내놨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싶다. 여당은 진정성을 갖고 책임감 있게 (정책을) 실행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나. 그런 점은 묻히고 이·조심판론 같은 정권심판론에 맞서기 어려운 체제로 선거전략을 짰던 걸 되돌아봐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국회 입성을 앞둔 정치신인이자 여당 초선 당선자로서 곧 새로 들어설 여당 지도부에 기대하는 역할은 뭔가.

 

“민생에 관한 목소리를 내고 동시에 지역 유권자분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지역에서 보면 많은 분이 정치인은 싸우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특히 젊은 층이 정치에 무관심한 이유가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 아닌가. 정치가 어떻게 보면 가장 효과적으로 우리의 삶을 바꿔나갈 수 있는 영역임에도 무관심층이 늘어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많은 사람이 정치의 영역에서 본인들이 바라는 것을 건전한 방향으로 얘기할 수 있도록 여당 지도부가 그 목소리들을 전하는 통로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그 과정에선 대화와 타협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야당과도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야기할 수 있고 여야를 떠나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같이 고민할 공론장을 만들 수 있는 지도부를 기대한다.”

 

—‘1호 법안’은 어떤 것으로 구상하고 계신가.

 

“가장 중요한 건 지역구인 부산 북구를 위한 법안들이다. 북구를 가로지르는 경부선 철도가 있다. 철도를 지하화하게 되면 그 위에 상부 공간이 남게 되는데 여길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특별법을 내고자 한다. 더 나아가선 부산을 위한 법안을 낼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산업은행 부산 이전에 관한 법이라든지 아직도 통과가 안 되고 있는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등이다. 이 법들은 부산을 서울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양대 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법이다. 이런 법들 통과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부산시 경제부시장 출신으로서의 경험을 살려 부산시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중앙부처가 그리고자 하는 그림을 잘 조율해나가겠다.”

—22대 국회에서 어떤 정치를 할 생각인지 포부를 들려달라.

 

“품격 있고 약속을 지키는 정치인이 되겠다. 또 이념보다는 민생에 집중해 목소리를 내는 국회의원이 되겠다. 선거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저의 진정성과 열정을 높이 사주신 유권자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제 부족함을 더 큰 열정과 노력으로 보답하겠다. 대통령실과 중앙부처, 부산시 등 여러 곳에서의 경험을 통해 얻은 교훈과 노하우들을 모두 잘 녹여내서 지역구민이 바라는 다양한 사업을 최대한 신속하게 해나가겠다. 선거 과정에서 드린 약속들은 공약 별로 사회 각계에 계신 분들과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실천해나가겠다.”


박지원·최우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