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12일 열린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회의에서 월성 1호기 원전의 계속운전이 적합하다고 보고했다. KINS는 원안위 산하기관으로 원자력 시설의 안전규제와 관련한 기술을 평가한다. KINS 측은 이날 월성 1호기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안전성, 주요기기의 수명, 방사선 환경영향 등을 평가한 결과 모두 적합했다고 보고했다.

이날 KINS 측의 보고 내용은 초안이고, 이후 전문위원과 원안위의 심의를 거쳐야 확정된다. 그러나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과 관련해 원안위에 처음 보고된 안건인 만큼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반핵단체는 당장 반발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첫 보고인데 자세한 경과나 자료 공개 없이 결과만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보고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심사에 민간이 참여하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제남 정의당 의원도 이날 논평을 내고 “스트레스 테스트가 진행 중인 가운데 원안위가 수명연장에 문제가 없다는 보고서 초안을 공개한 것은 스트레스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기 위함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월성 1호기는 국내 최초의 중수로형 원전으로 1982년 11월21일 시운전을 시작한 대표적인 노후 원전이다. 그동안 크고 작은 고장을 자주 일으켜 인근 주민은 물론이고 환경단체도 나서 폐쇄대상으로 꼽고 있다. 이에 월성 1호기를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그동안 주요 부품을 교체한 데다 안전점검에 나선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점검팀도 “문제없다”고 발표한 만큼 계속운전을 해야 한다고 맞서왔다.
한편 원안위는 이날 원전 부품의 품질 승급절차를 위반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과징금 5000만원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 한수원은 두산중공업이 제조한 부품이 품질승급 절차를 거치지 않았는데도 인수과정에서 이를 확인하지 않았다고 지난 3월 원안위에 자진 신고했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