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밀착취재]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여의도 수난구조대

다리 난간 위 위태로운 한 생명…바로 그때 한 줄기 빛이 비췄다
지난 6월30일 새벽 박현철(42) 대원이 구조된 투신자와 대화를 나누며 다독이고 있다.
흰색 셔츠의 중년 남성이 난간 앞을 서성인다. 강물을 바라보다 신고 있던 검은 구두를 벗는다. 소지품을 꺼내 신발에 넣더니 돌연 난간에 가랑이를 걸친다. “뛴다! 긴급 출동, 긴급 출동~” 비상벨이 울리고 붉은색 구조대 보트가 이내 강물을 가른다. 어느새 도착한 구조대원들이 강물 위 15m 다리 난간에 매달린 사내에게 탐조등을 비춘다. 채 3분이 걸리지 않았다. 
14일 새벽 마포대교 난간에 한 자살 시도자가 매달려 있다.

14일 새벽 이규진(45) 대원이 서강대교 난간에 매달린 자살 시도자에게 서치라이트를 비추고 있다.
14일 새벽 마포대교 아래에서 지원 나온 반포 수난구조대 대원이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영등포소방서 대원들이 14일 새벽 마포대교 난간에 매달린 자살 시도자를 구조하고 있다.

지난 6월16일 밤 여의도 수난구조대 이상영 3팀장이 마포대교에 서치라이트를 비추며 자살 시도자의 위치를 살피고 있다.
지난 6월16일 밤 지원 나온 반포 수난구조대 선박이 마포대교 인근을 탐색하고 있다.
영화 속 장면이 아니다. 지난달 16일 오후 8시40분, 한강 마포대교 위에서 벌어진 실제 상황이다. 대한민국 자살률은 13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하루 평균 40명, 한 달이면 약 100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38분마다 생명 하나가 사라진다. 심장질환에 비견되는 주요 사망원인이지만 은밀한 죽음인 자살은 언제나 우리의 인식 저 너머에 있다. 평화로워 보이는 한강에 매년 수백 명이 몸을 던진다는 그 일상화된 비극의 흔적을 따라 한강에 갔다. 
부력을 다스리는 납 벨트와 추진력을 주는 오리발. 수면 아래에 가라앉은 투신자를 수색하는 수난구조대원의 기본 장비다.

지난 6월30일 새벽 이건태(37, 왼쪽) 대원과 백광철(35) 대원이 현장으로 출동하는 배에서 장비를 착용하고 있다.

지난 6월30일 새벽 이건태(37, 오른쪽) 대원과 백광철(35) 대원이 성산대교 북단에서 투신자를 구조하고 있다.
지난 6월30일 새벽 이건태(37, 오른쪽) 대원과 백광철(35) 대원이 구조를 마친 뒤 배 가장자리에 매달려 있다.
최근 5년 동안 약 1300명이 한강에서 자살을 시도했다. 수난구조대의 활약으로 70%가 무사히 구조됐다. ‘자살 명소’ 마포대교를 전담하는 여의도 수난구조대는 전체 신고 건수의 60% 이상을 소화한다. 이곳 대원들은 항상 자살에 대비한다. 지난 한 달간 틈틈이 그들과 동행했다. 

“살리고 죽이는 건 하늘의 일이지만 우리는 그 일에 가장 가까이 있다.” 출동에 나섰다가 돌아온 강병식(46) 2팀장의 말이다. 투신한 사람을 구조하는 수난구조대의 일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 있다. 대부분의 구조 출동은 목격자의 신고로 이뤄진다. 밤 11시가 넘어서며 신고 전화가 늘어난다.
20일 오전 마포대교 인근에서 수색작업에 나선 김현진(33) 대원이 수면위로 올라와 숨을 고르고 있다.
“자살하는 사람들을 이해할 순 없지만 힘에 부쳐 보이는 발걸음은 충분히 공감한다”며 김현진(33) 대원이 CC(폐쇄회로)TV를 가리켰다. “난 예민하지 않아 다행입니다.” 올 초 수난구조대에 합류한 그는 강물 아래서 사람들의 죽음을 마주하는 것이 두려웠다고 한다. 극도로 어둡고 탁한 물속 수색 작업은 눈이 아닌 손이 하는 일이었다. 
수난구조대에 설치된 CC(폐쇄회로)TV가 난간 앞에 망설이는 사람을 비추고 있다.
칠흑 같은 강물 속 투신한 사람의 몸이 손끝이나 팔꿈치에 닿을 때면 소름이 온몸으로 퍼지곤 했었다. “여전히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없지만 지금은 적당히 무뎌졌다”며 멋쩍게 웃었다. 일종의 자기방어기제가 작동하는 게 아닐까? 
14일 새벽 이용선(37, 왼쪽), 박상진(35) 대원이 마포대교 아래서 복귀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지난 6월30일 새벽 박현철(42) 대원이 구조된 투신자와 대화를 나누며 다독이고 있다.
자발적 죽음이라는 지극히 개별적인 행위를 위해 한강이라는 공개된 장소를 찾는 이들. 그들은 ‘나를 봐 줄 그리고 괜찮다고 말해 줄’ 단 한 사람이 필요했던 건 아닐까?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해 생과 사의 경계에 선 이에게 조명을 비춘 대원들은 기꺼이 한 사람이 돼 주고 있었다. 결정적인 순간에 삶을 선택하게 하는 건 사람이고 사랑이다. 우리는 누군가의 한 사람이 되어주고 있는가?

사진·글=하상윤 기자 jonyyu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