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이슈탐색]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중국, 인도 이어 한국이 세번째

미국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가운데 한국인의 비중이 세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분석한 ‘2015년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현황’에 따르면 국적별로 중국이 가장 많고 이어 인도, 한국 순이었다. 특히 세 국가의 비중이 전체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절반이 넘는 5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이 미국 내 432개 대학 5만5006명의 연구관련 박사학위 졸업자를 대상(응답률 90%)으로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학위취득 학교 및 전공, 학사취득국가, 국적, 출생지, 학비출처, 부모교육수준 등을 조사한 것이다. 의학박사(MD), 치의학박사(DDS), 법학박사(JD), 수의학박사(DVM), 약학박사(Dpharm) 등은 조사에서 제외됐다.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는 1960년대까지 해마다 10%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1970년 이후 큰 폭으로 떨어져 2000년대 들어 2% 대의 증가율 유지하고 있다. 

전공분야별로 보면 2015년 전체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중 75.0%(4만1261명)가 과학·공학(생명과학, 물리 및 지구과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 심리 및 사회과학, 공학) 계열이었다. 이는 10년 전인 2005년 대비 6.8%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비(非)과학 공학 계열 박사학위 취득자 비율은 2000년대 중반까지 30%대 였으나 2010년대이후부터 20%대로 떨어져 과학·공학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의 박사학위 취득자(2015년) 중 64.9%(6,009명)가 과학·공학 계열이었다. 다만 우리나라의 박사조사에는 의약, 법학 분야까지 조사대상에 포함됐다.

성별로는 최근 20년 간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중 여성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여성 박사학위 취득자 전체의 비율은 1995년 39.5%에서 2015년 46.2%로 최근 20년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여성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46세이상(62.6%)이며, 36세이상(여성 50.6%)부터 여성의 비중이 남성을 추월했다. 우리나라 대학의 2015년 박사학위 취득자는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과 대조적이다.

학비 조달방식은 전분야에서 연구조교·견습 지원(Research Assistantships·Traineeships)이 32.1%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장학금·연구지원비(Fellowships·grants)가 27.3%, 교육조교(Teaching assistantships) 20.7%, 자비 충당(Own resources) 15.3% 순이었다. 

반면 우리나라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들은 자비 충당(본인부담+가족지원+대출)이 60.5%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장학금 28.6%, 직장지원 3.1%, 기타 1.0% 등이다.

박사학위 취득 후 취업을 했거나, 취업이 확정되는 등의 진로 확정 비중은 미국 박사가 62.0%, 국내 대학 박사가 76.4%였다.

김행미 KISTEP 조사분석실 부연구위원은 “미국 SED와 우리나라 박사조사 비교·분석을 통해 학비조달 방식의 차이, 여성 박사학위 취득자 분포(전체, 분야별 모두) 등에서 현저한 차이 재확인했다”며 “국내 우수 인재가 사회 각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로 성장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업무 환경(일, 처우 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과학·공학계열에서의 여성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 임신·출산 이후의 경력 개발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배려 등을 제도화하는 국가 및 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