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고대부터 현대사까지 한일 역사 쟁점 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개 주제’ 선정

1875년 9월,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 해안을 측량 연구한다는 명분으로 강화도 앞바다에 불법침투하자 경비를 서던 조선 수군이 방어적 공격을 감행했다. 일본군은 영종진에 상륙하여 조선수군을 공격하고 인적·물질적 피해를 입힌 뒤 퇴각했다. 이 사건은 최초의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조약이 체결되는 단초가 됐다.

일본의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운요호 사건’을 ‘강화도 사건’으로 표기하고 있다. 당시 일본 정부, 군부의 개입이 없었던 것처럼 꾸미려는 의도가 내포된 표현이다. 하지만 2002년 발견된 운요함장의 비밀보고서, 이 사건 이전 프랑스인 법률고문의 각서 등을 보면 일본의 주장이 허구임은 명백해진다.

한국과 일본의 첨예한 역사 갈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이것 말고도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쟁점이 일본의 왜곡과 이에 대한 한국의 반박으로 이어지며 갈등의 소재가 되고 있다.

동북아역사재단이 한국, 일본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는 역사 문제 20개를 선정해 학술적으로 검토한 ‘20개 주제로 본 한일 역사 쟁점’(사진)을 최근 출간했다.

고대사에서는 ‘임나일본부’, ‘신공황후 삼한정벌’의 서술 이면을 살펴본다. 고대에 만들어진 왜곡된 역사상이 계승되어 근대에 새롭게 재생산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해석을 내놓는다. 조선시대과 관련된 이슈로는 임진왜란의 원인, 통신사의 성격 등을 다뤘다.

책이 가장 공을 들인 부분은 ‘메이지유신과 일본의 한국 침략’이다. 일본 보수우익의 사상적 요람인 메이지유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인의 피해가 극심했던 러일전쟁의 실체를 조명한다.

해방 이후 시기에서는 연합군이 일본의 침략전쟁 책임을 물었던 ‘도쿄재판’, 1965년 한일협정, 일본군 ‘위안부’, 야스쿠니신사 등을 국제인권, 식민청산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강구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