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아베가 통제 가능하다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계속 증가, 원인 불명”

폐로가 진행 중인 후쿠시마 제1원전. 바다에 늘어선 1~4호기 건물 지하에 방사능 오염수가 고여있다. 2월 17일 촬영. 사진=아사히신문 캡처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폭발을 일으켜 원자로 3기가 ‘멜트다운(원자로 냉각장치가 정지돼 내부의 열이 이상 상승해 연료인 우라늄을 용해함으로써 원자로의 노심부가 녹아버리는 현상)’이 일어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지하에 무려 1만 8000t에 달하는 ‘고준위 방사능 오염수(highly radioactive water·방사성 물질 제거를 위해 원자도 등에 쏟아부은 물(오염수)’가 쌓여 통제 불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013년 9월 도쿄 올림픽 유치 연설에서 “상황은 잘 통제되고 있다”고 단언했지만 개막까지 1년을 앞둔 지금 현장은 방사능 오염수가 증가하는 원인도 파악하지 못해 제어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28일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 건물지하의 오염수는 사고 직후 지하 갱도 등을 통해 바다로 유입돼 인근 앞바다를 오염 시켜 이 일대에 서식하는 어패류등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됐다.

 

또 후쿠시마 원전은 사고 당시 1∼3기에서 녹아내린 ‘용융연료(핵연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쏟아부은 물이 바닥 균열 등을 통해 지하로 스며들었고, 지하로 스며든 물의 방사성물질 농도는 ‘현재 별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1억 배’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방사능 오염수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오염수가 바다와 지하수를 심각히 오염시키자 도쿄전력은 원전에서 이 물을 퍼 올렸다. 이렇게 퍼 올린 오염수는 현재 110t 정도로 이를 지상에서 보관 중이며 각 지자체는 오염수 보관 부지를 서로 미뤄 갈등이 깊이어지는 등 오염원을 없애지 않는 한 방사능 오염 대책은 끝나지 않는다.

 

지난 6월 원자력규제위원회 검토회에서 반 노부히코 위원은 원전 3호기 원자로 건물 지하층 일부 지역에서 계획대로 오염수 수위가 낮아지지 않는 상태가 2개월 이상 계속되고 있는데도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도교전력 담당자에게 짜증을 내기도 했다. 담당자는 원인을 몰라 ‘애매한 설명’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원자력규제위는 지진해일 대책도 요구하고 있으나 이 역시 미진하다는 지적이다. 

신문은 “거대 지진해일이 덮치면 파도가 지하의 고농도 오염수가 바다에 유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농도 오염수가 바다에 유입되면 바다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관련 신문은 “도쿄올림픽이 다가오는 가운데 어떤 문제로 오염수가 바다로 새 나가면 일본의 국제적 신용은 크게 손상될 수 있다”며 “잠재적인 위험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앞서 일본 정부는 약 100t에 달하는 오염수를 후쿠시마 원전 앞바다에 여과 없이 버렸다. 그러나 버린 양만큼의 방사능 오염수가 추가로 발생하자 환경단체는 “일본 정부가 처지가 곤란한 오염수를 다시 바다에 버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태평양 방류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그린피스는 지난 4월 “후쿠시마 사고 이후 환경으로 유출된 방사성 물질은 사고로 녹아내린 원자로에 여전히 남아 있는 엄청난 오염물질의 극히 일부”라며 “현재 한국 시민들과 후쿠시마 인근 지역사회에 가장 심각한 위협은 일본 정부가 현재 보관 중인 110만t의 원전 오염수를 태평양 방류를 고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단체는 이어 “후쿠시마 원전 저장탱크에 보관된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는 2030년까지 200만t으로 불어날 전망”이라며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를 두고 여러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나 정부의 현지 조사팀으로부터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태평양 방류를 권고받아 이르면 올해 이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 핵종이 포함돼 있지만 수산물 오염에 대한 충분한 검사는 진행되지 않았다”며 “어떤 수준의 방사선도 잠재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