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한은, 기준금리 3.5% 동결… 성장률 전망치는 2.5%로 상향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기준금리를 3.50%로 11회 연속 동결했다. 지난 1분기 ‘깜짝 성장’에 힘입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 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부터 11회 연속 금리 동결로 역대 최장 기록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2020년 3월16일 금통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번에 0.50%포인트(p) 낮추는 ‘빅컷’에 나섰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기존 1.25%에서 0.75%로 떨어졌다. 한은은 같은 해 5월28일 추가 인하(0.75→0.50%)를 통해 2개월 만에 0.75%포인트를 낮추는 등 금리를 빠르게 내려나갔다.

 

이후 한은은 아홉 번의 동결을 거친 뒤 2021년 8월26일 1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긴축으로 통화정책을 전환했다. 금리인상 기조는 이어졌고 지난해 2월 동결 이후 3.50% 기준금리가 지난해 1월 말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이번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는 먼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꼽힌다. 4월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둔화되며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졌지만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인플레이션 등을 이유로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은이 미국에 앞서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경우, 한미 금리 역전차를 확대해 자본 유출 우려와 환율 불안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불안한 물가 상황도 금리 동결에 힘을 보탰다. 우리나라의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로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왔지만, 중동 불안과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불안은 계속되고 있다.

 

한은은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된 가운데 물가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며 “이러한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편, 이날 한은 조사국은 수정 경제전망을 내고 올해 성장률 전망을 2.5%로 높였다. 기존 시장 전망치인 0.6∼0.7%를 뛰어 넘은 1분기 성장률(1.3%)을 반영해 2월 전망 대비 0.4%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2.3%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2.6%보다 낮은 수치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2.3%에서 2.1%로 낮췄다. 올해 성장률 반등에 따른 기저효과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2.6%를 유지했다. 내년 물가 예상치 역시 2.1%로 2월 전망과 같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