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화백에겐 특별한 건강비결이 없다.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고 자고 싶을 때 잔다. 운동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 식사도 특별할 게 없다. 아침 식사는 수년째 토스트와 커피가 전부다. “생명은 하나님께 속해. 거기에 감사하고 보답하는 마음으로 살지. 보답이란 미지근한 삶이 아닌 적극적인 삶이지.” 그에게 적극적인 삶의 궁극적 종착역은 사랑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없다. 하나님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일 뿐이다. “그저 주사 맞는 것처럼 따끔한 것도 있겠지만 대단히 자연스러운 거야.” 김 화백은 낭만주의자이지만 미술작업 방식에선 아주 현실의식주의자다. 예를 들어 사회비판적 요소부터 고층 빌딩 사이의 풍경을 선으로 표현한 작품까지 스펙트럼이 넓다. 낭만과 현실의 경계마저도 의경의 경지로 끌어 올리고 있는 것이다. 낙관적 시각은 그 기저에 깔려 있다. “내가 북한산을 그리는 것은 북한산을 그리는 것이 아니야. 의경을 그리고 있는 거지.” 평양이 고향인 김 화백은 이중섭 화백과는 소학교 동창생이다. “중섭이하고는 소학교 6년 동안 같은 반이었어. 동경서 문화학원이라는 미술학교를 다녔는데 나보다 2년 밑으로 중섭이가 들어왔지. 김환기 화백은 일본 ‘아방가르드미술’에서 처음 만났지. 거기서 물밀듯이 들어오는 초현실주의 등 서구사조에 함께 푹 젖기도 했어.” 요즘 세계미술계가 동양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에 그는 격세지감을 느낀다. “중국이 오리지널한 요소의 발신지였다면 한국은 그 동양성을 가장 순결하게 유지한 나라야. 일본은 너무 양식화돼 버렸고. 한국 미술이 세계 미술의 핵이 될 수밖에 없지. 그러기 위해선 새로운 미학적 조명작업이 절실해.”그가 한·중·일 국제전시를 적극 주창하는 이유다. 100세야말로 이제 작업을 제대로 할 나이라고 말하는 김 화백의 표정에서 소년의 얼굴이 어른거렸다. 편완식 미술전문기자 wansik@segye.com
Copyrights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