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북 "수소폭탄 실험 성공"… 한걸음 더 나간 핵 도발

풍계리서 4차 핵실험… 3년 만에 도발 카드 / “하늘이 무너져도 핵 개발 포기는 없다” 천명 / 정보당국 “추가 확인 필요… 소형화는 진전” / 외신 “SLBM 발사 성공”… 선제대응 무력화
'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연초부터 한반도가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유엔 결의나 대북 제재만으로 더 이상 북한 핵실험을 만류하거나 제동을 걸기는 힘들어 보인다. 북한의 핵폭탄 보유를 부인하기도 어려운 단계에 이르렀다. 북핵 위협이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선 것이다.

북한은 이날 첫 수소탄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2013년 2월12일 단행된 3차 핵실험 이후 3년 만이며, 박근혜정부 들어서는 처음이다.

TV에 쏠린 눈 북한이 4차 핵실험을 실시한 6일 서울 용산구 동자동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TV를 통해 뉴스 속보를 보고 있다.
이제원 기자
조선중앙TV는 이날 오후 12시30분(평양시간 낮 12시) 특별중대보도를 통해 “조선노동당의 전략적 셈법에 따라 주체 105(2016)년 1월6일 10시 주체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방송은 “우리의 지혜, 우리의 기술, 우리의 힘에 100 의거한 이번 시험을 통하여 우리는 새롭게 개발된 시험용 수소탄의 기술적 제원들이 정확하다는 것을 완전히 확증하였으며, 소형화된 수소탄의 위력을 과학적으로 해명하였다”고 주장했다.

방송은 또 “미국의 극악무도한 대조선 적대시 정책이 근절되지 않는 한 우리의 핵 개발 중단이나 핵 포기는 하늘이 무너져도 절대로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전 실험과 비교해 진일보했으며,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한 것이다. 이는 이전과 달리 핵실험 사실을 미국과 중국에 미리 통보하지 않은 데서도 알 수 있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했다고 밝힌 6일 고윤화 기상청장이 기상청 국가지진화산센터에서 인공지진 진원지를 가리키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가 지난해 12월31일(현지시간) 공개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모습. 38노스는 같은달 12일 촬영된 이 위성사진을 판독한 결과 북한이 이곳에서 새로운 핵실험 터널을 만들기 위한 굴착공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위성에 포착된 터널 입구 위 덮개와 굴착용 수레 궤도 등으로 미뤄볼 때 이곳 서쪽 갱도에서 핵실험을 위한 굴착공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38노스 제공
북한의 수소탄 핵실험 발표는 이날 오전 10시30분쯤 양강도 백암군 인근에서 지진파가 감지된 지 2시간 만에 나왔다. 진원지는 북한의 핵실험장이 있는 함북 길주군 풍계리 인근이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의 발표와 관련해 “이번 핵실험은 지진파 규모로 볼 때 폭발력이 작아 수소폭탄 실험으로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기존 핵실험과는 다른 패턴으로 진행돼 징후를 포착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점증되는 북핵 위협은 이뿐만이 아니다. 미국 매체 ‘워싱턴 프리비컨’은 5일(현지시간) 미 국방관리들 말을 인용해 북한이 지난해 12월21일 동해 신포항 인근 수중 잠수함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사출시험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갈수록 힘들어지는 형국이다. 특히 북한의 SLBM 발사 성공은 게임의 룰이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군은 새로운 위협 앞에서 전략을 새로 짜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발표 직후인 6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 하에 북한이 이번 핵실험에 대해 반드시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며 강력한 대응 의지를 천명했다.
청와대 제공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6일(현지시간) 오전 11시(한국시간 7일 오전 1시)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비공개 긴급 회동을 갖고 북한의 4차 핵실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안보리의 대북 제재에 동참할 것이냐는 질문에 “중국은 당연히 해야 할 국제사회에 대한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조만간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초치해 “(중국의) 엄정한 우려를 제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김민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