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6-01-21 19:01:11
기사수정 2016-01-21 22:58:59
방사청, 개발 공식 선언
2026년까지 국산 전투기를 개발하는 한국형 전투기(KF-X) 사업이 닻을 올렸다.
방위사업청은 21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KF-X 체계 개발 착수 회의를 열고 대내외에 KF-X 개발을 공식 선언했다.
KF-X 사업계획에 따르면 2019년 9월까지 설계를 마치고, 2021년 시제기 6대를 출고해 4년간의 비행시험을 거치도록 했다. 비행시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해 2026년 6월까지 개발을 완료한다는 구상이다. 이후 2032년까지 KF-X 120대를 생산해 공군에 배치할 예정이다. 핵심 장비인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전자광학 표적추적장비(EO TGP) 등 90여개 품목을 국산화해 가격 대비 국산화율 65%를 목표로 개발이 추진된다.
미국이 기술 이전을 거부한 AESA 레이더와 이를 전투기에 통합하는 기술은 국방과학연구소(ADD) AESA 체계개발단이 맡는다. 방사청은 공군, ADD, KAI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계획된 일정 안에 체계 개발을 마친다는 방침이다. KAI 측은 “방사청과 함께 2026년 6월 체계 개발 종료 때까지 KF-X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 산학연 등 국내 항공산업 역량을 총결집하고 ‘KF-X 정부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21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에서 장명진 방위사업청장과 김재경 국회 예결위원장, 국방부·공군·국방과학연구소(ADD)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형전투기(KF-X) 체계 개발 착수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천=연합뉴스 |
하지만 KF-X를 바라보는 국민 시선은 여전히 불안하다. 개발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위험요소들이 산재한 탓이다. 먼저 미국이 지난해 이전을 거부한 4개 핵심기술의 국내 개발이 원만하게 진행될지 의문이다. 방사청은 이들 4개 핵심기술을 국내 개발하되 필요할 경우 제3국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또 미국으로부터 다른 21개 기술을 이전받고자 협상을 진행 중이라 핵심기술 확보는 문제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미국의 엄격한 기술통제 방침을 고려할 때 협상을 낙관적으로 보는 건 금물이다.
KF-X ‘국산화율 65%’라는 방사청의 목표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2020년대 육군에 도입될 소형무장헬기(LAH) 개발에 적용된 국산화율은 59%”라며 “헬기보다 개발이 훨씬 어려운 전투기 국산화율을 높이면 향후 리스크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02년 소요 제기 이후 14년 만에 개발이 시작되면서 발생한 공군의 전투기 노후화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공군은 전력공백을 막기 위해 사용한 지 30년이 넘은 F-4와 F-5 전투기의 수명을 5년씩 연장할 계획이다. F-4는 2025년, F-5는 국내 생산된 ‘제공호’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사용하게 된다.
KF-X 개발사업에는 개발비(8조5000억원)와 양산비용(9조6000억원)을 합해 18조1000억원이 투입된다. KF-X는 기동성은 주력 전투기인 KF-16과 유사하지만 탑재되는 레이더, 전자장비 등의 성능은 더 우수한 ‘미디엄급’ 전투기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박수찬 기자 worldp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