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국회 문턱 넘기 여전히 어려워

청년들의 국회의원 도전을 위한 관문은 여전히 좁다. 여야가 20대 총선 비례대표 당선권에 배정하기로 한 청년 몫은 1∼2석에 불과하다. 일부 청년들은 지역구 도전에 나섰지만 현역 또는 저명인사들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은 청년 예비후보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시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40세 이하를 대상으로 20%의 가점을 주기로 했다. 당 관계자는 20일 통화에서 “비례대표의 경우 당선권은 1명 정도 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더민주는 연령대별로 가점을 차등 부여한다. 만 29세 이하의 경우 자신이 얻은 득표율에 25%의 가점을, 30세부터 35세까지는 20%, 36세 이상 만 42세까지는 15%를 추가로 얻는다. 여성의 경우 최대 25%까지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비례대표의 경우 청년 후보들은 별도로 집단토론 방식의 타운홀 미팅 등을 통해 선발할 예정이며 남녀 각각 1명씩 당선권에 해당하는 순번을 받게 된다.

이번 총선에 지역구에 도전한 여야 청년 예비후보들은 60명 정도로 알려졌다. 사회적 경험이 적어 인맥이 두텁지 않은 탓에 상당수 예비후보들이 후원금 조달 등 선거자금 마련에 고충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난달 청년 예비후보 공천 설명회에서 “선거 경비가 제일 큰 애로 사항으로 생각되는데 2030 후보에 한해서 경선 비용에 좀 보탤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당에서 연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치권의 청년 기준도 현실과 거리감이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새누리당과 더민주의 청년 기준은 45세 이하다. 정당의 한 관계자는 “사회에서는 통상 20∼30대를 청년이라고 하지만, 그 기준에 맞출 경우 필요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