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6-02-28 20:39:27
기사수정 2016-06-24 17:28:25
독립운동가 감시카드…유물·유적 유리건판…
식민지 현실 전하는 사진·영상 공개
‘소화 9년(1934) 5월 촬영’이라고 제작 시점을 밝힌 일제강점기의 영상에는 호주 시드니에서 바다를 건너온 양들이 함경북도 웅기(지금의 선봉)에서 하역되는 장면이 들어있다. 일제가 식민지 조선을 원료 공급처로 활용하기 위해 펼친 ‘남면북양 정책’을 일단을 보여준다. 독일인 신부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떠들썩한 운동회, 결혼식, 아이들이 춤추는 모습 등을 볼 수 있다. 더없이 가난하고 힘든 시절이었지만 삶이 마냥 척박하지는 않았음을 전한다. 두 영상은 한국영상자료원이 러시아, 독일에서 발굴해 다음달 1일 일반에 공개하는 자료다. 20세기 초반 우리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나 다양한 사진은 한 세기가 지난 지금 가치가 더욱 새롭다. 자료가 많지 않은데다 문헌이나 그림이 전하지 못하는 사실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사의 가장 어두웠던 시절인지라 일제의 약탈, 당시 조선인들의 고초 등을 보여주는 사진이 특히 눈길을 끈다. 여러 기관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하거나 책으로 발간한 사진 자료들을 보면 당대의 현실을 보다 가깝게 느낄 수 있다.
|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홈페이지’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유물·유적, 민속, 자연환경 등의 사진을 서비스하고 있다. |
◆서양인이 본 서울, ‘월러드 스트레이트 서울사진’
영상, 사진 모두 20세기 초 한국인에게는 낯선 매체였던 터라 서양인들이 만든 것들이 많다. 외부인의 시선은 어느 정도의 왜곡이 있기도 했지만 그들만의 시각으로 당대의 도시 풍경, 역사적 사건, 사람을 렌즈에 담았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최근 출간한 ‘코넬대학교 도서관 소장 윌러드 스트레이트의 서울사진’은 1900년대 통신사 특파원, 외교관으로 한국에 있었던 윌러드 스트레이트가 찍은 사진 174점을 수록했다. 사진 중에는 처음으로 공개되거나 희소한 것들이 많아 사료적 가치가 뛰어나다.
화려한 상여를 앞세우고 수많은 사람들이 말을 타거나 걷고 있는 사진은 헌종의 계비인 명헌태후의 국장 행렬을 담은 것으로 추정된다. 동대문 밖에서 경릉으로 향하는 모습이다.
을사늑약 기념사진은 ‘병합기념조선사진첩’(1910)에도 수록되어 있다. 다만 코넬대 도서관 소장본의 사진에는 병합기념조선사진첩의 사진에서는 지워진 일본인 여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숭례문 앞 일본군대의 행렬 사진은 숭례문 문루 근처의 성벽에서 남대문정거장 방면으로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용산과 의주로 이어지는 전찻길이 보이고 오른쪽에는 ‘남지’(南池)도 확인할 수 있다. 남지는 일본 왕자의 방한 때 매립되어 사라졌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