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6-08-09 22:05:50
기사수정 2016-08-10 08:13:22
대표·최고위원 4명이 친박… ‘반기문 대선후보’ 탄력 받나
새누리당이 9일 전당대회에서 현 정부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지낸 이정현 신임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친박(친박근혜)계 지도부를 선택했다. 4·13총선 이후 비박계 위주로 흘러가는 듯 보였던 당내 권력지형 재편에 제동을 걸고 박근혜정부 임기 후반부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줬다는 평가다. 최고위원 경선에서도 비박계 당선자는 강석호 최고위원 한 명에 불과해 사실상 친박계가 완전히 당권을 장악했다. ‘도로 친박당’으로 복원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
“새 출발”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이정현 의원이 9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확정된 직후 당기를 흔들며 당원과 지지자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조직력·인지도 앞세운 호남 대표 탄생
이 대표 승리 요인은 친박계의 막강한 조직력과 상대적으로 독보적인 우위를 유지해 온 그의 인지도가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친박계는 20대 총선 참패 이후 줄곧 당 안팎의 책임론 공세에 시달렸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내년 대선의 정권 재창출을 확신할 수 없게 됐고, 여권 내부에서도 주류 세력으로서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는 형국이었다. 이에 따른 위기감이 친박계를 다시 뭉치게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4년 7·14 전당대회에서 비박계 김무성 대표가 등장하며 청와대 견제론으로 불안한 당·청 관계가 계속된 데 대한 학습효과도 작용했다.
이 대표는 사상 처음으로 호남 출신이면서 영남권을 기반으로 한 보수정당 수장으로 이름을 올렸다. 그는 당권주자 중 선수는 가장 떨어지지만, 인지도는 가장 앞섰다. 전대 선관위는 선거인단 투표와 여론조사를 합한 총 득표수만 공식 발표했지만 실제 개표 결과, 이 대표는 여론조사에서 2위 주호영 후보의 약 2배에 달하는 표를 얻으며 격차를 벌린 것으로 알려졌다. 2004년 당시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수석부대변인으로 발탁된 이후 줄곧 자타가 공인하는 박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활약해온 이력이 축적된 결과다. 더구나 호남에서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고군분투하느라 총선 책임론에서 비켜나 있었던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반면 비박계는 단일화를 거쳤음에도 결집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인지도 측면에서 열세였던 비박계 주 후보는 뒤늦게 경선에 뛰어들었던 데다가 정병국·김용태 후보 간 1차 단일화에는 참여하지 않아 비박 지지층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하며 역전에 실패했다.
|
새누리당 당대표 후보인 이정현, 이주영, 주호영, 한선교 의원(왼쪽부터)이 9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에서 손을 들어 당원·대의원들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친박 패권주의 우려에도 반기문 영입론 탄력받을 듯
이 대표 체제의 가장 큰 과제는 단연 내년 대선 승리를 통한 정권재창출이다. 내부적으로는 비박 진영의 반발을 잠재우고 당의 통합을 이루고, 외부적으로는 야권과 맞서기 위해 당내 잠룡을 육성하거나 외부 인사를 영입해야 한다. 친박계는 이 대표를 포함한 다수의 최고위원을 이용한 물량공세로 대선 경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험난한 여정이 불가피해진 김무성 전 대표 등 비박계 당권주자와 달리, 친박계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영입 내지 옹립에 탄력을 붙일 수 있는 기반이 갖춰졌다. 친박 패권주의의 부활에 대한 우려가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새 지도부의 숙제도 적지 않다. 20대 총선과 이번 전대 과정에서 드러난 계파갈등이 대표적이다. 대선 경선마저 또다시 계파전 양상으로 흘러가면, 여권 후보 지지율 추락이나 경선 불복 등 최악의 상황에 봉착할 수도 있다.
이 대표가 박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며 임기 초부터 국정철학을 공유해온 만큼 당·청 관계는 큰 마찰 없이 ‘밀월시대’에 접어들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어떤 형태로든 당 운영에 청와대 입김이 강해져 당 혁신작업에는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대야 관계에 있어서도 박 대통령과 가까운 이 대표를 향해 야당이 거센 견제모드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당장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세월호 특조위 활동기간 연장 등 각종 현안이 얽혀 있는 8월 임시국회와 국정감사가 이 대표 리더십의 첫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