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집중투자… 10년간 기업 1000개 육성

4차 산업혁명 정부 대응은 세계일보가 주최한 ‘2016 세계기후환경포럼’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 대응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공지능(AI)이나 로봇 등의 기술이 이산화탄소(CO₂) 감축으로 대표되는 기후변화 완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정부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을 강구 중이다. 우선 AI를 정부 주도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AI는 지난 10일 열린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핵심적인 기반 기술로 분류돼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됐다. 국가 차원의 대대적인 투자로 AI 전문기업과 전문인력을 2026년까지 각각 1000개, 3600명으로 늘려 AI 핵심 기술의 성장 및 자립 기반을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또 민·관 협력으로 언어·시각 인지, 학습 같은 AI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국방이나 치안 등 공공 분야에 AI 기술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가 AI 수요를 창출해 민간으로 확산하겠다는 복안이다.

앞서 지난 6월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확정된 2017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에서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의 연구·개발(R&D) 예산은 4707억원으로 배정됐다. 이는 올해 예산(3147억원)보다 49.6% 증액된 것이다. 특히 AI 분야 R&D 예산은 올해 919억원에서 내년에는 1656억원으로 80.2% 불어난다. 이 같은 움직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3차 산업혁명 시기까지 우리 경제는 다른 나라를 따라하는 추격자였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서는 전 세계가 과거에 없던 길을 만들어 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더 이상 추격자가 아니라 선도자가 돼야 하고 우리가 노력하면 분명히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지금, 기업들이 신산업 진출을 두려워해 머뭇거린다면 경제의 역동적 발전은 요원한 일이 될 것”이라며 기업에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