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외교전 마무리…'사드' 굳히고 '북핵 불용' 재확인

오바마 ‘핵우산 제공’ 약속 받고 중·러에 유엔결의 이행 단도리 / 일과 ‘북 도발’ 대응 긴밀 협력 합의 / 위안부 합의 후 한·일 관계 개선/중국의 사드 반발이 최대 걸림돌
'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7일(현지시간)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한·미·일 3국이 강력하게 공조해 잘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취임 후 세 번째 가진 아베 총리와의 회담을 끝으로 미·중·일·러 4강 정상외교를 마무리했다.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라오스를 방문 중인 두 정상은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에서 가진 정상회담에서 “지난해 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를 계기로 한·일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긍정적 모멘텀이 형성된 만큼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지역 및 국제 이슈에서도 양국간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두 정상이 관계 개선에 공감하고, 북핵·미사일에 대해 한·미·일 3각 협력을 강조하고 나섬에 따라 지난해 말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북핵 대응을 고리로 양국 관계가 급격히 복원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일 양자회담 7일 오후(현지시간) 박근혜대통령이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일본 아베 총리와의 양자 회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비엔티안 =서상배 선임기자

박 대통령이 회담에서 “청소년 교류를 지원하고 2018년 평창 및 2020년 도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하자”고 제안한 것도 이같은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아베 총리도 “양국 관계가 전향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가 양국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북 도발과 북 비핵화 달성을 위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자”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지난 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형언할 수 없는 폭거”라고 비판했다.

한-일 양자회담 7일 오후(현지시간) 박근혜대통령이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일본 아베 총리와의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비엔티안 =서상배 선임기자
박 대통령은 이번 4강 릴레이 연쇄회담을 통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정부 의지를 분명히 하고, 한·미·일 3각 공조체제의 틀을 더욱 공고히 했다. 특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직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확장억제(extended deterrence)를 포함, 한국에 대한 방위 공약을 재확인한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박 대통령과 만나 확장억제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러시아와는 북한 문제가 극동지역 한·러 경협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드 갈등을 최소화했고, 중국과는 양국 정상이 직접 만나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 처음 의견을 교환하는 계기로 삼았다.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후(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랜드마크호텔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양국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중단시키기 위한 흔들림 없는 대북 제재 공조를 재확인했다.
비엔티안=서상배 선임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5일 오전(현지시간) 중국 항저우 서호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항저우=서상배 선임기자
동방경제포럼(EEF)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3일 오후(현지시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불용 원칙을 재확인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서상배 선임기자
박 대통령은 이날 열린 한·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및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도 아세안 정상들 간 북핵대응 공조 체제를 확고히 하는 데 중점을 뒀다. 박 대통령은 북핵 위협을 거론하며 아세안 국가들의 안보리 결의 2270호의 충실한 이행을 거듭 당부했다.

그러나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이 양국 관계는 물론 북핵 대응에 있어서도 최대 장애물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한·미 양국이 이를 어떻게 관리해나갈 것인지가 과제로 남게 됐다.

비엔티안=이우승 기자 ws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