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시즌… 취준생은 여전히 '스펙' 고민

취준생들 “스펙 관련 질문 가장 두려워” / 기업들은 ‘탈스펙’ 채용 방식 도입 / 취업난에 정량화 쉬운 스펙쌓기에 몰두 / 자신만의 강점 어필하는 게 중요
.
“아무래도 학점이 낮은 게 가장 불안하죠. 능력 중심이다 뭐다 해도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스펙’을 소홀히 할 수는 없잖아요.”

정규 과정인 4년을 초과해 10학기째 대학 수업을 듣고 있는 김진(25)씨는 이같이 말하며 한숨을 내쉬었다. 서울 소재 한 4년제 대학 인문계열 학과에 재학중인 김씨의 학점 평점은 3.3점으로, 3.5점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대학 마지막 학기인 4학년 2학기에 재학중인 박보미(23·여)씨는 요즘 학교 수업이 끝나자마자 종로의 한 토익 학원으로 향한다. 미국 유학까지 다녀온 박씨의 토익점수는 900점을 넘지만, 950점을 넘겨야 취업에 유리하다는 말을 자주 들었기 때문이다.

기업 하반기 공채 면접 전형이 한창인 가운데, 여전히 취업준비생들은 학점이나 토익점수 등 ‘스펙’에 매달리고 있다. 이들에게 정부가 강조하는 ‘능력 중심 사회’, ‘탈스펙 사회’는 여전히 요원하기만 하다.

29일 YBM 한국TOEIC위원회가 자사 블로그를 방문한 31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면접에서 가장 두려운 질문으로 ‘스펙 관련 질문’(43.7%)이 꼽혔다. 뒤이어 ‘지원동기 질문’(23.3%), ‘회사 관련 질문’(22.9%), ‘사적인 질문’(20.9%), ‘자기소개’(15.6%) 순이었다.

면접장에서 가장 피하고 싶은 지원자를 묻는 질문에도 ‘스펙이 좋은 지원자’(25.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외국어를 한국말처럼 구사하는 지원자’(25.5%)와 ‘인턴, 서포터즈 등 경험이 많은 지원자’(20.9%) 처럼 스펙과 관련된 응답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어떤 질문에도 당황하지 않고 순발력 있게 대답하는 지원자’(23.4%), ‘너무 잘생기고 예쁘게 생긴 지원자’(3.9%)라는 응답도 있었다.

그 밖에 면접에서 합격 당락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신감 있는 태도’(76.4%)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직무에 대한 풍부한 지식’(57.7%), ‘입사에 대한 강한 의지’(40.5%), ‘신뢰감을 주는 외모’(23.6%), ‘수려한 말솜씨’(19.2%) 등이 주요 합격 요인이라고 답했다.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외국인투자기업 채용박람회’에서 참가자들이 외국 기업 인사 담당자들과 현장면접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같은 설문 결과는 기업들이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의 스펙보다 직무 수행 능력을 중시 여기는 경향과 배치된다. 한 예로 SK는 지난해부터 대졸 신입사원 채용 입사지원서에서 스펙 관련 항목을 대폭 삭제하고, 2013년부터 ‘바이킹 챌린지’라는 전형을 통해 신입사원 일부를 채용하고 있다. 바이킹 챌린지는 스펙을 보지 않고 서류심사 및 심층면접 등을 통해 선발하는 방식이다.

롯데도 올해 직무 수행 능력만 따지는 오디션 형식의 채용으로 110명을 뽑는다. 입사 지원서에는 이름, e메일, 주소, 연락처 등 기본적 인적 사항만 적도록 하고, 직무 관련 기획서나 제안서, 프리젠테이션, 미션 수행 등을 통해 인재를 선발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극심한 취업난으로 취준생들의 심리적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량화하기 쉬운 스펙에 매달리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외대 정재한 교수(행정학)는 “취업을 앞둔 학생들과 상담을 해보면 스펙이 좋은 학생들이 취업에 자신감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며 “학생들이 개인적 역량이나 직무능력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반면 스펙은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기업들의 채용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취준생들이 스펙에만 매달리기보다 자신만의 강점을 찾아 이를 강조하는 편이 자신감을 쌓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