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기업은행장,'최순실 사태'로 내부승진론 힘받나

현직 관료 등 거명되나 '낙하산' 논란 가능성 부담
제청권자인 금융위원장 후임 불확실…공백 가능성도
IBK기업은행 창립 55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는 권선주 기업은행장.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국정 전반이 어수선한 상황이어서 정부 진용이 어떻게 짜여질지 불투명해 연말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금융공기업 대표와 은행장 인사에도 적잖은 영향이 예상된다. 

그 중 하나가 권선주 현 행장의 임기가 12월27일로 만료되는 기업은행이다. 우리은행도 이광구 행장의 임기가 올해 만료되지만 상대적으로 유임 가능성을 점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금융계의 관심은 기업은행 후임 행장에 쏠리는 게 사실이다.

당초에는 현 정부 말기인 만큼 ‘보은인사’ 차원에서 정치권이나 관료 출신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그러나  ‘최순실 게이트’로 권력의 핵심인 청와대가 질타를 받고 있어 보은 차원의  '낙하산' 인사를 선임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면서 내부 승진 가능성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동안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유력 후보로 거론됐으나, 현 전 수석이 고사해 후보군에서 빠졌다. 이후 ‘최순실 게이트’ 등 정권의 난맥상이 심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정치권 인사는 거론되지 않는 양상이다.

관료 출신이라 해도 ‘낙하산’ 논란을 피하기는 힘들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지금 정부가 ‘리더십’을 상실한 상태”라면서 “이처럼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공공기관장에 ‘낙하산 인사’를 쓰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럼에도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비롯해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만일 정부가 여론을 의식해 몸을 사린다고 하면 권 행장의 경우처럼 내부승진을 할 수도 있다.

현재 기업은행 내부에서는 박춘홍 전무가 제일 유력하게 거론된다. 박 전무는 자타가 공인하는 ‘영업통’이다. 이외에 이상진 부행장과 김도진 부행장, 김규태 전 전무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내부 출신은 노동조합의 지지를 얻기가 편하다는 게 장점이다. 노조는 현 전 수석이 차기 기업은행장으로 오르내리던 당시 반대 성명을 낸 바 있다.

그렇지만 정국 상황으로 인해 은행장 선임 자체가 미뤄질 수도 있다. 기업은행장은 중소기업은행법 제26조에 따라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문제는 지난 2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경제부총리로 내정하면서 차기 금융위원장을 발표하지 않아 아직 임 위원장의 후임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더구나 국회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야당이 인사청문회를 보이콧 하기로 함에 따라 임 위원장의 경제부총리 취임조차 기약이 없는 상태여서 차기 금융위원장은 더더욱 오리무중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정혼란이 조기에 수습되지 않고 장기화할 경우 해결과제 가운데 후임 기업은행장 선임은 뒷전으로 밀려 한동안 공석 상태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김용환 전 수출입은행장 퇴임 후 이덕훈 현 행장이 취임하기까지 2주 넘게 은행장직이 공석 상태였던 적이 있다.

안재성 기자 seilen78@segye.com

<세계파이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