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부동산 대책 이후 주요 타깃으로 지목된 서울 '강남 4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강동구)의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고 있는 가운데 그 한기(寒氣)가 강북으로 옮아가고 있다.
이번 대책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로 돌아섰던 강남 4구 주택시장은 대책이 나온 뒤 매수 문의가 뚝 끊기고 사실상 거래가 중단됐다.
실제 재건축 단지는 호가가 수천만원씩 떨어져도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주변 일반 아파트 거래도 덩달아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 재건축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주변 아파트 시세까지 끌어올렸던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1단지 전용면적 35.64㎡의 경우 정부의 규제 의지가 알려지기 이전인 지난달 중순 9억∼9억1만원에 거래됐다.
그러나 부동산 대책이 나온 뒤 가격 하락이 이어지더니 최근 호가가 8억7000만원까지 내려갔다는 게 인근 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강남 4구 주택시장, 11.3 대책 후 매수 문의 뚝 끊겨
이번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강남 주택시장에 때 이른 한파가 불어닥치면서, 최근 청약열기가 달아오르며 반사이익을 누리는 듯했던 강북 주택시장에도 찬바람이 휘몰아치고 있다.
마포구 아현동, 노원구 상계동과 같은 강북 지역의 경우 지난달까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꾸준히 거래가 이어지다가 이번 대책을 전후로 거래가 급감했다고 이 일대 중개업자들은 입을 모은다.
이번 대책에 고3 수험생 자녀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김장철이 맞물렸고,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 등 정국까지 어수선해서인지 매수자들이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의 영향으로 관망세가 짙어진 강남 주택시장 분위기를 뒤집을만한 이렇다 할 요인이 없어, 당분간 이같은 추세가 지속되면서 강북 주택시장도 한풀 꺾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종·부산 청약시장만 '반짝 호황'…나머지 지방 시장 미분양 사태
이런 와중에도 이른바 '막차 청약 수요'가 몰린 세종과 부산에서는 세 자릿수의 청약 경쟁률을 보였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무더기 미분양 사태가 빚어졌다.
부동산 업계는 이번 대책 이후에도 세종과 부산 외 지역 청약 성적이 저조한 점을 예로 들어 지방 부동산 시장에서 '풍선효과'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오히려 이번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내년 입주 대란까지 겹치면서, 지방 시장은 전체적으로 올해보다 침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세종에서 분양한 '캐슬 파밀리에 디아트 L2·M1' 두 단지 총 445가구 모집에는 총 11만706가구가 접수해 평균 248.77대 1 경쟁률을 보이면서 1순위에서 청약 마감했다.
부산 해운대구에서도 세 자릿수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해운대 센텀 트루엘 1·2단지' 두 단지 총 386가구 모집에 총 7만9475명이 접수해 205.89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했다.
이에 반해 △충남 아산 △강원 원주 △전남 순천시 등 그 외 지역에서는 인기 높은 중소형임에도 청약 미달 단지가 속출했다.
아직 지방 매매가가 하락세에 접어든 것은 아니지만 일부 지역 상승세가 둔화하는 등 매수세가 위축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대책 이후인) 지난 7일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3% 상승했다. 지난달 0.04%를 이어가던 상승률에서 소폭 하락한 수치다. 세종에서는 오히려 소폭 상승한 0.02%를 보였지만 △부산(0.22%) △제주(0.16%)에서 오름세가 둔화했다.
이번 대책의 영향으로 지방 시장은 매수자나 매도자 모두 관망세를 보이면서 거래가 위축, 가격이 소폭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에는 입주 물량도 증가하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차기 대통령 당선으로 국내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이 같은 침체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세계닷컴>세계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