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갈등 조장 세력에 뿔난 KT 직원들

 

국내 굴지의 통신회사 KT와 이 회사의 제2노동조합에 해당하는 ‘새노조’ 간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새노조 측의 KT 지배구조 변혁 요구에 사측은 물론이고 사내 다른 직원들도 '회사 흔들기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을 쏟아냈다는 전언이다. 특히 새 노조가 조기 대선 정국을 틈타 특정 정치세력을 끌어들이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 직원들의 불만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새노조 관계자들은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정의당 윤소하 의원실 주관으로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과 KT 이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새노조 관계자들은 “KT가 민영화됐지만 여전히 정권의 사유물이나 전리품으로 취급받는다”며 “노동자 대표, 소비자 대표가 이사회 자리 절반을 차지해야 이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새노조 "이사회 절반을 노동자 대표가 차지해야"…시대착오적 주장 남발

새노조 측의 이 같은 주장에 KT 직원 사이에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실제 한 직원은 “민영화된 기업의 주인은 주주이고, 이사회와 경영진, 직원이 각각 제 할 일을 해서 기업가치와 주주이익을 높이는 게 원칙이 아니냐”먀 “자유시장경제 기본을 망각한 시대착오적 발상이다”고 힐난했다.

다른 직원도 “이 시점에서 새노조가 특정 정당과 함께 저런 주장을 하는 진의가 의심스럽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전체 노조원이 회사 전체의 0.2%에 불과한 30여명에 그친 새노조가 외부단체와 정치권을 끌어들여 회사 경영에 부당 개입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앞서 새노조는 지난 1월 국회에서 정의당 소속 의원들과 함께 황창규 KT 회장의 연임을 반대하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검사의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당시 직원 대다수인 1만8000여명을 대변하는 KT 제1노조 측은 "최고경영자 선임은 정치적 이해관계나 외부의 영향력, 개인적 친분을 일체 배제하고 회사 미래를 위한 경영역량과 경험, 전문성을 갖추고 있느냐의 여부를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특히 회사의 진정한 주인인 조합원의 의견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려운 시국에서도 우리 회사를 위해 최선을 다해 소기의 성과를 창출한 현 최고경영자에게 한번 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최선이다”라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치권과 외부세력 끌어들이는 새노조의 언행, 사내 여론 악화일로

황 회장의 연임 후 새 노조는 안팎으로 직원 대부분이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을 뒤엎기 위해 외부의 힘을 끌어들였다는 비판과 함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새노조가 1990년대 중반 강성 노조 집행부에서 시작된 '민주동지회'(민동회)에 뿌리로 둔 점도 다른 직원들이 거부감을 보이는 이유로 전해졌다.

민동회는 그간 복지후생 향상을 원하는 직원들의 뜻과 달리 정치투쟁에만 관심을 둬 왔다는 비판을 받는다. 내부고발자로 유명한 새노조의 한 관계자는 회사에 휴직계를 내고 정치활동에 매진하면서 정당 입성을 노리는 행보가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KT 관계자는 "최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는 '권력이 기업 경영의 자유를 침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0.2%에 불과한 소수 목소리라 해도 정당을 등에 업고 주장을 펴면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고, 이는 권력이 부당하게 기업을 침해하는 일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침묵하는 다수 무시한 극소수의 언론플레이, 진짜 의도는 정치권 진출?"

이제 여론도 '정치권이 부당한 요구로 기업을 압박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동의한 만큼 새노조의 행태는 비판받을 여지가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KT의 다른 관계자는 “새노조가 직원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이유는 임금과 복지의 실질적인 향상이 아닌 최고경영자(CEO) 연임과 지배구조 개편 등 정치적 이슈에만 목소리를 내기 때문”이라며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회사의 발전과 직원의 행복이 아닌 특정인의 정치적 입신양명이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새노조 측은 사실과 전혀 다른 내용이라면서 반박할 가치조차 없다고 해명했다.

새노조의 한 관계자는 "이런 주장은 한 적도 없고, 정당 가입 등 정치활동을 한 사실도 없다"며 "어떤 근거로 이런 말을 하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터무니없는 사실이기에 반박할 가치조차 없다"고 덧붙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세계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