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7-05-01 05:55:39
기사수정 2017-05-07 16:49:15
성인 1000명 경제공약 인지도 조사해보니… / ‘4차산업’ 文·‘노조개혁’은 洪 공약 / 이미지만 생각… 실제 제안 후보 몰라 / 제대로 맞힌 비율 대부분 20% 안돼 / 지지후보·선호정책 ‘미스매치’도 / “정책 차별화·적극 홍보 필요” 지적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만들어 4차 산업혁명을 정부가 선도하겠다.” 5·9대선 경제공약 중 하나다. 누구의 공약일까. 우리 국민 1000명 중 430명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공약이라고 생각했다. 틀렸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공약이다. 제대로 맞힌 응답자 비율은 13.6%에 그쳤다. ‘임금 격차 완화를 위한 노동조합 개혁’ 공약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의 공약이다. 그러나 정의당 심상정 후보의 공약이라고 답한 비율이 32.7%에 달했다. 이 공약도 ‘주인’을 제대로 알고 있는 유권자 비율은 11.8%에 불과했다.
세계일보가 4월26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대선 후보 경제공약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 응답자들은 어느 후보가 어떤 공약을 제시했는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후보별로 차별화된 경제정책 공약 11개를 뽑아 누구의 공약인지 물었는데 제대로 맞힌 비율은 거의 대부분 공약에서 20%를 넘지 못했다. 심지어 ‘비정규직 고용총량제’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의 공약임을 알고 있는 유권자 비율은 3.2%밖에 되지 않았다. 이 공약도 심상정 후보의 공약이라고 답한 비율이 10.8%로 가장 높았다.
유권자들이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문제를 후보 선택의 주요 기준으로 꼽으면서도 정작 세부 공약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것이다. 유권자들의 ‘공약 색맹’ 현상은 표심을 왜곡할 수 있다. 후보의 이미지나 대표 브랜드만 보고 공약의 ‘주인’을 착각해 표를 던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선호하는 공약과 무관하게 인물 중심으로 투표하는 관행을 보여준다는 분석도 나온다. 유권자 체감도가 큰 경제 공약에 대해 후보들의 정책 차별화와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가계부채 총량관리제 도입’은 문재인 후보의 공약이지만 홍준표 후보 지지층에서 찬성 비율이 76%로 가장 높았다. 오히려 문 후보 지지층에선 이 공약에 대한 찬성 비율이 68%에 그쳤다. 지지 후보와 선호 공약이 엇갈리는 ‘미스매치’ 현상이다.
‘빚 상환 무능력자 203만명 채무 22조원 탕감’도 문 후보 공약이지만 찬성 비율은 홍 후보 지지층이 27.1%로 문 후보 지지층(23.8%)보다 높았다. 마찬가지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용 유연화’는 홍 후보의 공약인데, 찬성 비율은 안 후보(56.8%)와 문 후보(50.6%) 지지층에서 더 높게 나왔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78.7%)와 유선전화(21.3%)를 활용해 진행했다.(응답률 12.8%) 자세한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이번 여론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 앤 리서치가 지역·성·연령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 추출법을 통해 추출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구체적인 조사는 휴대전화(78.7%)와 유선전화(21.3%)를 혼용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응답률 12.8%) 컴퓨터 보조 전화조사 (CATI: Computer Aided Telephone Interview)형태로 이뤄졌다. 또 가중값은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부여됐다.(2017년 3월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p 이며 자세한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참조하면 된다.
류순열 선임기자, 김라윤 기자
ryoosy@segye.com
동영상 촬영·편집 정원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