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7-05-28 14:30:34
기사수정 2017-05-28 15:04:12
재건축이 상승세 촉발…불확실성 해소·경기부양 기대감
금리 인상·규제 강화 가능성… "투자에 신중해야" 지적
|
한 아파트 견본주택 입구에서 상담 고객을 기다리는 이동식 중개업소 영업사원들 모습. 사진=이상현 기자 |
새 정부 출범 후 부동산 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에서 재건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급등세가 재현되고 있고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도 사상 최고로 치솟고 있다.
28일 부동산 정보 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이 1주일 전보다 0.3% 올라 작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선 직전인 4월 28일 주간 상승률(0.03%)과 비교하면 10배다.
이같이 부동산 시장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경기 부양 기대감이 반영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 들어 아직 구체적인 부동산 규제책이 나오지 않고 있고, 도시 재생 정책 등이 개발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 서울 재건축 아파트 위주 집값 급등
재건축의 경우 초과이익환수제 때문에 지난달 가격이 하락하고 쌓여있던 매물이 대선 이후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지난해 부동산 시장 흥행의 상징이었다. 래미안 블레스티지를 비롯해 서초구 잠원동 아크로리버뷰(306.61대 1) 등이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인 바 있다.
이에 정부는 11.3대책을 통해 서울 25개 구를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고 수도권 민간택지 중 서울 강남 4개구와 과천은 6개월이던 전매제한 기간을 소유권이전등기시까지로 늘렸다. 사실상 입주 시점까지 분양권전매가 제한된 것이다.
이후 강남4구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연말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11월 들어서는 전 지역이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했으나 올 초를 기점으로 다시 오름세로 전환됐다.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서울 재건축아파트 단지는 5월 들어 급등하며 △5월 12일 0.11% △5월 19일 0.22% △5월 26일 0.28%로 집계됐다.
국토연구원의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도 계속 오름세다. 지난해 12월 110대에 머물던 서울지역 주택 매매시장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달 132.3까지 올랐다. 전국 평균이 120.5 포인트인 것을 감안하면 전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 호가 상승…재개발 사업도 훈풍
가격오름세가 시작되면서 호가도 뛰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시영아파트 전용 40㎡ 평형은 현재 9억~9억 2000만원 선에 가격이 형성되며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기간동안 5000만원 가량 올랐다. 지난해 높은 가격상승세를 보인 개포주공1단지 41㎡평형도 1주일 사이 1000만원 가까이 오르며 10억 6000만~10억 8000만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재개발사업도 훈풍이다. 지난 24일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에서 1순위 청약을 받은 '보라매 SK뷰'는 527가구 모집에 1만4589명이 청약통장을 접수하며 평균 27.7대 1, 최고 10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민간아파트 중 가장 높은 청약경쟁률이다.
11.3 대책 이후 사라졌던 이동식 영업소 떴다방도 다시 등장했다.
거래량도 늘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7일 기준 8490건으로 이미 지난달 거래량(7824건)을 넘어섰다. 주택 거래가 활발했던 지난해 5월 거래량(1만163건)과 맞먹을 기세다.
시장에서는 보유세 인상 등과 같은 부동산 규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 안도하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특별한 규제가 없다면 올해 새 아파트 입주 물량도 적다는 점에서 아파트 시장이 당분간 강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내년부터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가 부활하면 서울의 주택 공급 부족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점도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 규제책 및 대출 규제 강화 가능성
이런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이 계속해서 상승할 경우 정부가 규제 대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공약 사항인 가계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출 규제를 대폭 강화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을 강화하고 가계대출을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150%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총량관리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도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하반기엔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는 데다 주택 시장에 투기 수요가 몰리면 정부가 보유세 인상이나 가계 대출 관리 등 규제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분위기에 휩쓸려 섣불리 투자했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며 ”투자시 보다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상현 기자 ishsy@segye.com
<세계파이낸스>세계파이낸스>